벤처캐피털 투자 받은 기업 가치 분석해보니…1천억 이상 '예비 유니콘' 235곳

4년 새 4.6배 늘어나
벤처투자를 받은 국내 기업 가운데 기업가치 1000억원을 넘는 ‘예비 유니콘’ 기업이 4년 새 4.6배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의 전체 기업가치가 총 124조772억원에 이른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코스닥시장 전체 시가총액(209조8827억원)의 59.1%에 해당하는 규모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중 1위인 삼성전자(280조5798억원)보다 적지만, 2위 SK하이닉스(57조9490억원)에 비해선 두 배 이상 큰 금액이다.

중기부는 벤처캐피탈협회와 함께 2015년부터 4년간 벤처투자를 받은 기업 4613개 중 프로젝트 투자, 구주 투자 등을 제외한 3381개 기업의 기업가치를 분석해 이 같은 자료를 발표했다.

지난해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기업은 235개로 2015년(51개) 대비 4.6배 증가했다. 기업가치 100억원 이상 1000억원 미만 기업은 1623개, 100억원 미만은 1523개로 나타났다. 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업은 7개였다.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기업이 가장 많은 분야는 바이오·의료로, 71개(30.2%)를 차지했다. 이어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50개), 유통·서비스(35개), 전기·기계·장비(25개) 등이 뒤를 이었다.

분야별 평균 기업가치는 바이오·의료 분야가 651억원이었다. 이어 게임(451억원), 화학·소재(398억원) 등의 평균 기업가치가 높은 편이었다. 투자금액 대비 기업가치 배수는 게임 분야가 16.8배로 가장 높았다. 이어 화학·소재(12.9배), 유통·서비스(11.4배), 바이오·의료(11.1배) 순으로 투자자에게 성장 가능성을 높게 인정받았다.

4차 산업혁명 분야의 평균 기업가치는 449억원이었다. 이 중 5세대(5G) 통신산업의 평균 기업가치가 672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스마트헬스케어와 O2O(온·오프라인 연계)가 각각 661억원, 528억원으로 뒤를 이었다.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 기업은 투자 10억원당 4.7명을 고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0억원 미만 기업은 투자 10억원당 4명을 고용했다. 사업 초기 단계인 100억원 미만 기업은 5.2명을 고용하면서 투자금을 고용 확대에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이번 분석은 국내에서는 최초로 시도한 것으로 벤처투자 유치 기업의 기업가치 현황부터 투자 트렌드까지 창업벤처 생태계의 현황을 정확히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매우 크다”며 “우수한 창업기업을 선별·집중 육성해 기업가치 1000억원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