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 마스크 독점 유통' 지오영·백제약품 특혜?…정부 "전국 유통망 고려"

"공공성·접근성 최우선 고려"
지오영 전국 1만4000개 약국 거래
"공급 가격 1500원 과도하지 않다"
8일 서울 시내 한 약국에서 시민들이 공적 마스크 구입을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이날까지는 1인당 2매씩 공적 마스크를 살 수 있지만 6∼7일에 마스크를 이미 샀다면 중복구매는 불가능하다. 9일부터 약국에서 마스크 구매는 1인당 1주일에 2매로 제한된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공적마스크 유통업체로 선정된 지오영과 백제약품에 독점적 특혜를 부여했다는 문제가 제기된 것과 관련해 "전국적 유통망을 고려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설명했다.

기획재정부는 9일 '공적마스크 공급권·가격구조 관련'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전국적 약국 유통망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지오영, 백제약품을 유통 채널로 선정하는 것이 불가피했다"고 강조했다.기재부는 "공적마스크 판매처 선정시 공공성과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면서 "국민 보건의료를 1차적으로 담당하고, 전국 2만3000여개소를 갖춰 접근성이 높은 약국을 판매처로 최우선 선정했다"며 "약국이 드물게 위치한 지역을 위해 우체국(1400개소, 읍면지역)과 농협(1900개소, 서울경기 제외)을 보완적으로 선정했다"고 했다.

지오영 직거래 약국은 국내 최대로 전체 약국의 60% 수준인 1만4000여개에 달한다. 백제약품을 통해서는 나머지 약국 5000여곳에 공적 마스크를 공급한다.

기재부는 "약국 유통업체를 지오영·백제약품 2곳으로 선정한 것은 유통경로를 효과적으로 추적·관리하고 매점매석이나 폭리와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담업체 관리·유통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공적 마스크 공급 가격과 관련해서도 "조달청은 계약 단가를 900~1000원으로 하고, 유통업체인 지오영과 백제약품은 약국에 1100원에 공급하고 있다"며 "지오영, 백제약품이 전국적으로 급증한 물량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매일 밤샘 배송과 작업 등에 따른 물류비, 인건비 인상분 등을 고려할 때 과도한 가격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물류창고에서는 배송받은 벌크 마스크 포장을 밤샘작업을 거쳐 약국에서 1인2매로 판매할 수 있도록 재분류· 포장함에 따라 물류비·인건비 등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기재부가 자료를 내면서까지 해명한 이유는 지오영 등 특정 의약품 유통업체가 공적마스크 공급을 사실상 전담해 독점적 특혜를 누린다는 지적이 일부 언론과 SNS를 통해 제기됐기 때문이다.특히 원가가 700원 수준인 공적 마스크 가격이 1500원으로 책정됐고, 유통업체가 그 중간 마진을 챙기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 한국경제 '코로나19 현황' 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kyung.com/coronavirus

노정동 한경닷컴 기자 dong2@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