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年 2% 이자' 입출금통장, 앱으로 간편하게 가입

정기예금으로 묶자니 불편하고
월급통장 넣긴 아까운 여윳돈
이자 쏠쏠한 파킹통장 몰려가
예금으로 묶어두기엔 부담스럽고, 월급통장에 묵혀두기엔 아까운 여윳돈을 보관하는 ‘파킹(parking) 통장’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대형 은행의 일반적인 수시입출금 통장에는 연 0.1%의 ‘쥐꼬리 금리’가 붙는다. 파킹통장을 활용하면 입출금은 마음대로 하면서 연 1~2% 안팎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기존 ‘빅5 은행’에 뒤처진 중소형 은행과 저축은행들이 모바일뱅킹의 편의성을 앞세워 파킹통장 수요를 무섭게 빨아들이고 있다. 증권사의 머니마켓펀드(MMF)나 종합자산관리계좌(CMA)와 달리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를 받을 수 있다.딴주머니·세이프박스 아시나요

수협은행은 지난 18일 파킹통장 ‘딴주머니’ 금리를 연 1.0%에서 1.2%로 인상했다. 딴주머니는 ‘잇(it)딴주머니통장’이라는 수시입출금 통장 안에 생성하는 별도의 자금 보관 공간이다. 여윳돈을 딴주머니에 넣어두면 하루만 예치해도 연 1.2%의 이자를 준다.

오프라인 점포가 많지 않은 수협은행은 핀테크(금융기술) 기업과의 제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수협은행의 모바일뱅킹 앱과 토스, 시럽, 페이북 앱에서 계좌를 틀 수 있다. 수협은행 관계자는 “기존 은행권 파킹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이라며 “단기자금 운용을 원하는 소비자가 입출금통장의 편리함과 고금리 혜택을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했다”고 소개했다. 잇딴주머니통장에는 외화 여유자금을 보관하는 ‘외화 딴주머니’ 기능도 있다. 외화 출금 시 수수료 면제, 환율 우대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인터넷전문은행에도 비슷한 방식의 파킹통장이 있다. 카카오뱅크는 입출금통장 안의 ‘세이프박스’에 돈을 보관하면 1000만원 한도로 연 1.0% 금리를 적용한다. 케이뱅크도 입출금통장에서 ‘남길 금액’을 설정하고 1개월 동안 유지하면 연 1.1% 금리를 준다. SC제일은행의 ‘SC제일마이줌통장’은 가입자가 설정한 금액에 맞춰 잔액을 유지하면 연 1.0% 금리를 준다. 설정금액은 최소 100만원부터 최대 10억원이다.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연 2%”

저축은행업계 1위 SBI저축은행의 모바일 전용 앱 ‘사이다뱅크’ 입출금통장은 아무 조건 없이 연 2.0% 금리를 주는 파킹통장이다. 계좌 개설부터 조회, 이체, 대출 등 모든 업무를 스마트폰으로 365일 24시간 이용할 수 있다. 이체, 현금 인출 수수료도 전혀 받지 않는다. 저축은행 창구를 찾을 필요 없이 고금리 파킹통장을 손쉽게 개설할 수 있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인기를 누리고 있다. SBI저축은행 측은 “과거 저축은행의 예금 고객은 대부분이 50대 이상이었다”며 “사이다뱅크에는 20~40대 신규 가입자가 많은데, 유입된 자금의 70%가량이 파킹통장 실적”이라고 설명했다.페퍼저축은행의 ‘페퍼루 저축예금’도 예치 금액과 기간에 관계없이 연 1.8% 금리를 주는 수시입출금 통장이다. 스마트폰 앱으로만 가입할 수 있고 이체 수수료는 무제한,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수수료는 월 5회 면제다.

대형 1금융권 은행들은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높은 금리를 주는 파킹통장을 선보이고 있다. 신한은행의 ‘주거래S20통장’은 만 18~30세가 가입할 수 있고 최대 연 1.5% 이자를 준다. 농협은행의 ‘NH1934우대통장’은 만 34세까지 가입 가능하며 최대 연 3.0% 금리를 적용한다. 최고금리는 카드 결제, 급여 이체, 오픈뱅킹 이용 등의 실적을 채워야 받을 수 있다.

임현우 기자 tardi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