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규모의 경제

www.tesat.or.kr
[문제] 다음 보기 중 규모의 경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큰 경우는?

(1) 기업의 규모가 클 경우
(2) 생산요소의 가격이 증가할 경우
(3) 시장에 다수의 생산자가 존재할 경우
(4)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평균생산비용이 감소할 경우
(5)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두 배 증가할 때 생산량이 두 배 미만으로 증가할 경우[해설] 규모의 경제는 생산량 증가 비율이 생산요소 증가 비율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므로 규모에 대한 보수 체증이라고도 불린다. 규모의 경제가 존재할 때 초기에는 막대한 고정비용이 필요하지만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평균생산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생산 규모가 커질수록 생산 비용이 낮아지기 때문에 한 개의 선발(先發)기업이 독점 기업이 될 확률이 높다. 정답 (4)
[문제] 한국의 기획재정부가 경기흐름을 분석한 월간 경제동향보고서를 그린북이라고 한다. 미국에도 이와 같은 경제동향보고서가 있다. 미국 중앙은행(Fed)이 연간 8차례 발표하는 미국경제동향 종합보고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옐로북
(2) 워크북
(3) 화이트북
(4) 오렌지북
(5) 베이지북

[해설] 베이지북이란 미국 중앙은행인 Fed가 연간 8차례 발표하는 미국경제동향 종합보고서를 말한다. 책 표지가 베이지색이라는 데서 이 용어가 유래했다. 베이지북은 FRB 산하 12개 지역 연방은행이 기업인과 경제학자, 시장 전문가 등의 견해와 각 지역 산업·생산 활동, 소비동향, 물가, 노동시장의 상황 등 모든 경기지표를 조사·분석해 하나로 묶은 것이다. 베이지북은 FRB 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정책 논의 때 가장 많이 참고되는 자료로서 중요성이 크다. 정답 (5)
[문제] 다음 지문을 읽고 (A), (B)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A ) 실업이란 기술 진보와 같이 시장 전반에 걸친 변화로 인해 노동 수요가 변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 공급이 충분히 대응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실업을 일컫는다. ( B ) 실업은 수요와 공급 간 정보의 비대칭성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실업으로 자발적인 경우가 많다

(A) - (B)
(1) 소극적 - 경기순환적
(2) 소극적 - 마찰적
(3) 구조적 - 계절적
(4) 구조적 - 마찰적
(5) 구조적 - 경기순환적

[해설] 구조적 실업은 사회 구조, 경제 구조의 변화로부터 야기된 실업이다. 여러 실업 형태에 비해 가장 장기적이며, 만성적인 실업 형태에 해당한다. 사양산업에 속해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나 최저임금제 실시로 일자리가 부족해져 발생한 실업이 이에 해당한다. 구조적 실업은 노동자들에게 직업훈련을 받게 하는 인력정책 등을 통해 완화할 수 있다. 마찰적 실업은 노동자가 스스로 일자리를 바꾸거나 경제적 활동을 재배치하는 등 노동시장에서 일자리의 연결이 즉각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실업이다.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탐색하는 데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실업으로, 탐색적 실업이라고도 한다. 마찰적 실업은 일자리에 관한 정보제공망 확충 등을 통해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지만,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정답 (4)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