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문 여는 한경 TESAT] 시장수익률

www.tesat.or.kr
[문제] 시장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을 올리는 것을 목표로 펀드 매니저들이 적극적인 운용전략을 펴는 펀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액티브펀드
(2) 인덱스펀드
(3) 뮤추얼펀드
(4) 크라우딩펀드
(5) 상장지수펀드[해설] 액티브펀드란 주식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웃도는 운용 성과를 목표로 하는 펀드로 종합주가지수와 같은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패시브(인덱스)펀드보다 공격적이다. 받아들일 수 있는 위험수준 내에서 최대의 수익을 얻고자 한다. 액티브 펀드는 특정 테마의 강세가 예상될 때 적극적으로 비중을 조절하며 대응할 수 있어 중소형주, 배당주 등이 강세를 보일 때 좋은 성과를 낸다. 정답 (1)
[문제] 정부가 지출을 100만큼 증가시켰다고 하자. 이때 GDP는 100보다 적게 증가했다고 하자.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을 모두 고르시오.

ㄱ. 이자율 상승으로 투자 감소
ㄴ. 국민 조세부담의 증가
ㄷ. 소비자들의 소득 증가로 인해 수입 증가
ㄹ. 해외 소비자들의 소비 증가로 수출 증가

(1) ㄱ
(2) ㄱ, ㄴ
(3) ㄱ. ㄴ, ㄷ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해설] 국내총생산(GDP)은 Y=C+I+G+(X-M)으로 나타낼 수 있다. GDP(Y)는 소비(C), 투자(I), 정부지출(G), 순수출(X-M)로 구성돼 있다. 정부지출을 100만큼 증가시켰지만, GDP가 100보다 적게 증가한 경우는 소비, 투자, 순수출 항목이 감소한 경우로 볼 수 있다. 투자는 이자율이 상승할 경우 감소하므로 GDP가 정부지출을 증가시킨 것보다 적게 증가할 수 있다. 국민 조세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 가계의 가처분소득은 줄어든다. 가처분소득이 줄어들면 가계는 소비를 줄이게 된다. 따라서 GDP가 감소하는 요인이다. 수입이 증가하면 순수출이 감소해 GDP가 줄어든다. 반면, 수출이 증가할 경우 순수출이 증가해 오히려 GDP가 더 늘어난다. 정답 (3)
[문제] 스톡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임직원에게 열심히 일할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2) 기업이 임직원에게 부여하는 자사주 매입 권리를 뜻한다.
(3) 벤처기업 등이 유능한 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다.
(4) 스톡옵션을 받은 임직원은 미리 정해진 가격에 자기 회사 주식을 정해진 물량만큼 살 수 있다.
(5) 스톡옵션을 받은 경우 옵션 행사가격이 주가보다 높더라도 반드시 행사해야 할 의무가 있다.

[해설] 스톡옵션이란 기업이 임직원에게 자사 주식을 일정한 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해 영업이익 확대나 상장 등으로 주식의 가격이 오르면 그 차익을 볼 수 있게 하는 보상제도다. 주식매수선택권이라고도 한다. 채용 당시 많은 임금을 보장할 수는 없지만 사업성이 높은 벤처기업들이 인재를 모을 때 많이 사용하는 제도다. 벤처기업의 경영 실적이 호전돼 주가가 오를 경우 임직원들은 회사가 옵션을 제공할 때 결정한 행사가격(exercise price)으로 주식을 취득한 뒤 시가로 매도할 수 있다. 행사가격과 시가의 차액에 대한 세금을 낸 뒤 나머지를 보상으로 받는다. 주가가 행사가격보다 떨어지면 권리를 반드시 행사해야 할 의무는 없다. 정답 (5)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