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국 우한 체류 국민 위해 30∼31일 전세기 투입"

정세균 총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긴급 관계장관회의에서 밝혀
“감염병 확산 대비 격리병상·음압병실 대폭 확대”
“국내 환자 사망설 등 가짜뉴스 단호히 대응”
‘미국·일본 대비 늑장대응’ 비판도 나와
사진=연합뉴스
우리 정부가 이른바 ‘우한 폐렴’(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 오는 30~31일 이틀 동안 중국 우한에 전세기를 투입해 교민들을 귀국시키기로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서울정부청사에서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이 밝혔다. 정 총리는 “중국 정부가 우한시와 그 주변 지역을 사실상 봉쇄했고, 고립되어 있는 우리 국민들이 정부에 지원을 요청해 왔다”며 “재외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의무를 이행함에 있어 한 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교민들이 현지에서 이송되고 국내에 머무르는 동안 감염증이 유입되거나 확산되지 않고록 방역 대책을 철저히 수립하겠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우한 내 교민 대피를 위한 전세기 투입을 검토 중이라고 지난 26일 발표했다. 정부는 중국에 마스크와 방호복 등 의료 구호물품도 전세기 편으로 중국에 전달하기로 했다. 또 “격리병상과 음압병실도 대폭 확대했다”며 “감염증이 의심되는 경우 곧장 의료기관을 찾지 말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에 신고해 달라”고 전했다.

정 총리는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환자 사망’과 같은 가짜뉴스에도 엄중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또 “국민들이 궁금해하는 사안에 대해선 보건 당국이 하루 두 차례 브리핑하는 등 바로바로 알리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우리 정부의 이런 대응이 미국을 비롯한 다른 나라에 비해 너무 늦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미국은 전날 띄운 전세기가 28일 우한에 도착, 자국 외교관과 가족 등 230여명을 태우고 캘리포니아로 향했다. 일본도 이날 전일본공수(ANA) 전세기 1대를 띄워 우한에 체류 중인 일본인 650여명 중 200명 가량을 1차 귀국시켰다. 일본은 향후 추가로 나머지 귀국 희망자도 이송할 계획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우한 현지에서 귀국 희망자 파악 작업이 다소 늦어졌다”고 해명했다. 또 “귀국 이후 격리 및 치료 계획을 두고 관계부처와 협의하면서 다소 시간이 소요됐다”고 덧붙였다.

이미아/임락근 기자 mi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