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해리스 美 대사 발언, 대단히 부적절"

해리스, 외신기자에 "韓 정부, 오해 피하려면…"
독자적 남북협상 추진 구상 비난

靑 "남북협력, 정부가 결정할 사안"
해리 해리스 미 대사/사진=연합뉴스
청와대가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 대사의 발언에 공개적으로 불쾌감을 드러냈다.

청와대 관계자는 17일 "해리스 대사의 발언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라는 질문에 "대사가 주재국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언론에 공개적으로 언급한 부분은 대단히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정부는 남북관계의 실질적 진전과 조속한 북미대화를 위해서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갈 것"이라며 "남북협력과 관련된 부분은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밝혔다.

해리스 대사는 지난 16일 외신 기자 간담회에서 한국 정부의 북한 개별관광 등 독자적 남북협상 추진 구상과 관련해 "향후 제재를 촉발할 수 있는 오해를 피하려면 한미 워킹크룹을 통해 다루는 게 낫다"고 말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독자적인 행보를 가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상황에서 공개적으로 견제 의견을 밝혔다는 평가를 받았다.

해리스 대사는 또 문재인 대통령에 대해 "지속적인 낙관주의는 고무적"이라면서도 "이에 따른 행동은 미국과의 협의 하에 이뤄져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언급한 독자 관광에 대해서도 "한국 관광객들이 북한으로 가는 데 쓰일 경로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며 "관광객들이 거기 어떻게 가는가? 중국을 거치는가? DMZ(비무장지대)를 거치는가? 이는 유엔 사령부도 관련된다는 의미다. 어떻게 돌아올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청와대가 주한미국 대사의 발언을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앞서 동북아평화협력 특별위원장인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사가 무슨 조선 총독인가"라고 강도높게 비판한 것을 시작으로 여당과 외교부 안보 부처 차원의 비판 논평이 나온데 이어 청와대까지 '경고 메시지'를 전한 것.

이날 이상민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대북정책은 대한민국의 주권에 해당된다"며 "개별 관광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사항에 저촉되지 않으며, 남북 협력과 민간 교류 확대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해리스 대사의 발언을 정면 반박했다. 이 대변인은 "관광이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기 때문에 지금도 여러 국가에서 북한을 관광 목적으로 방문하고 있다"며 "지금 이뤄지고 있는 관광에 대한 현실적인 검토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확대간부회의에서 "해리스 대사가 제재의 잣대를 들이댄 데 대해 엄중한 유감의 뜻을 표명한다"며 "개별 관광은 제재 대상도 아니며, 내정간섭 같은 발언은 동맹 관계에도 도움이 안 된다"고 밝혔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해리스 대사의 발언은 매우 우려스럽다"며 "해리스 대사는 본인의 발언이 주권국이자 동맹국인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의 오해를 촉발할 수도 있다는 깊은 성찰을 하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