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온, 기상관측 이후 두 번째로 높았다

기상청, 2019년 기상 특성 발표

평균 13.5도…예년보다 1도 ↑
한반도 강타 태풍 7개 '역대 최다'
지난해 연평균 기온이 1973년 기상관측이 시작된 이후 두 번째로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평균기온도 산업혁명 이후 두 번째로 높았던 것으로 기록되면서 지구온난화 영향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 기상청 분석이다.

16일 기상청이 발표한 ‘2019년 연 기상 특성’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연평균 기온은 13.5도로 예년(1981~2010년 평균)보다 1도 높았다. 전국에서 기상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연평균 기온이 가장 높았던 2016년(13.6도)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북쪽 찬 공기의 영향을 자주 받은 4월과 6월, 7월을 제외하면 모든 달의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1.1~1.6도 높았다.

세계 평균기온도 근대 기상관측이 시작된 1840년 이후 두 번째로 높았다. 유엔 세계기상기구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평균기온은 14.9도로 예년보다 0.6도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았던 해는 엘니뇨 현상이 두드러졌던 2016년이다. 기상청은 “전 지구적으로 기온이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한국의 연평균 기온이 오른 것도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태풍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지난해 한반도에 접근한 태풍은 7개로 예년(3.1개)의 두 배를 웃돌았다. 국내에 첫 공식 기상관측소가 설립된 1904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구온난화로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태풍이 한반도까지 접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설명했다.겨울에 찬 공기를 동반하는 시베리아고기압은 지난해 유달리 약해 적설량이 적었다. 서울은 지난해 1월 강수량이 0.0㎜, 최심신적설(24시간 동안 새로 내려 쌓인 눈 중 가장 많이 쌓인 곳의 깊이)은 0.0㎝로 1973년 이래 가장 적었다. 12월에도 인천, 대전, 포항, 대구, 전주 등에 눈이 내리지 않아 12월 기준 적설량 역대 최소치를 경신한 곳이 속출했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