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임기 이후 생각 안 해…대통령으로 전력 다하고 끝나고는 잊히고 싶다"

文대통령, 오늘 신년 기자회견
10시부터 90분간 신년 기자회견
대통령 기록관 사업 일축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0 신년 기자회견에서 질문을 요청하는 기자를 지정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임기 이후 어떤 대통령으로 기억되고 싶으신가요."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진행된 내외신 기자들과의 신년 기자회견에서 "임기 이후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문 대통령은 "대통령으로 임기 중 전력을 다하고 끝나고는 잊히고 싶다"면서 대통령 기록관 등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경제지표에 대해서는 "부정적 지표 말하지 않았을 수 있지만 제가 말한 것은 전부 사실이다"라며 "현실경제 긍정적인 지표 늘어나는 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의 '임기 후엔 잊히고 싶다' 발언은 지난해 정부가 백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개별 기록관 설립을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일었던 것을 언급한 것으로 관측된다.당시 문 대통령은 본인 관련 기록관에 대해 지시한 적도 없고 원하지도 않는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당시 이례적으로 기록관 추진에 대해 문 대통령이 크게 화를 냈다는 사실도 공개했는데, 조국 사태로 논란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불필요한 오해를 잠재우고 국정 다잡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제기됐다.

지난해 9월 10일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이 행정안전부 자료를 공개한 바에 따르면 대통령 통합 기록관이 있는데도 정부가 172억 원을 들여 문 대통령 개인 기록관 건립을 추진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한국당은 즉각 '혈세 낭비'라며 공세에 나선 바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2020 신년 기자회견에서 질문을 요청하는 기자를 지목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해서는 "공수처법 통과까지 민정수석으로 법무부장관으로 조국 전 장관이 했던 기여는 크다고 생각한다"면서 "그분의 유무죄는 수사나 재판 과정을 통해 밝혀질 일이지만 그 결과와 무관하게 이미 조국 전 장관의 고초 그것만으로도 크게 마음의 빚을 졌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께 호소하고 싶다. 조국 전 장관 임명으로 인해 국민들간의 많은 갈등과 분열 생겨났고 그 갈등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점은 참으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하지만 이제는 검경수사권 조정까지 통과됐으니 이제는 조국 장관을 놓아달라"고 말했다.이어 "앞으로 유무죄는 재판결과에 맡기고 그 문제 갈등을 이제 끝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