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증시, 2019년 화려한 피날레…3대 지수 20~30% 급등

뉴욕 증시, 상승세 마감
'R의 공포'로 출발했던 2019년
뉴욕증시 3대 지수 최고치 거듭 갈아치워

뉴욕증시가 화려하게 2019년을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이했다.

3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6년 만에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거래를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역시 2017년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날 S&P 500 지수는 9.49포인트(0.29%) 상승한 3230.78에 거래를 마쳤다. 올해 상승률은 28.7%로 연간 29.6%의 상승률을 기록했던 2013년 이후 6년 만의 최고 기록을 세웠다. S&P 500 지수는 올해 35차례의 최고치를 경신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26.61포인트(0.30%) 오른 8972.60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나스닥 지수 역시 올해 약 35%나 올랐다. 3대 증시 중 최고 성적이자 6년 만의 최대 상승률이다.

나스닥 지수는 지난 26일 사상 처음으로 9000선을 돌파했다. 뿐만 아니라 최근 10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 행진을 이어갔다. 이는 '버블닷컴' 당시인 1998년 이후 최장 기록이다. 특히 나스닥 대장주로 꼽히는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올해 각각 85%와 55%가량 상승하면서 상승세를 이끌었다.

다우 지수는 76.30포인트, 0.27% 오른 2만8538.44로 장을 마쳤다. 2019년에만 22.3%가 올라 2017년 다음으로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뉴욕증시는 2018년 말부터 이어져 오던 경기침체, 이른바 'R(Recession)의 공포' 속에 출발했다. 전문가들은 'R의 공포'가 완화되고, 세계 경제에 가장 큰 불확실성으로 작용했던 미중 무역전쟁과 관련, 미중이 1단계 무역합의를 한 부분이 뉴욕증시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또한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도 투자심리 개선에 일조했다.

새해 뉴욕증시는 상승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경기둔화 우려와 미중 2단계 무역협상 진행 상황 그리고 11월로 예정된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변동성이 클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내년 1월 15일 백악관에서 미국과 중국의 1단계 무역 합의안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향후 2단계 협상을 위해 중국을 방문하겠다는 의사도 전했다.미중 1단계 무역 협상은 지난해 12월 중순 타결됐다. 이를 통해 미국은 추가 대중 관세 조치를 취소하고 기존에 일부 중국산 제품에 적용된 15% 관세를 7.5%로 인하키로 했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과 상품, 서비스 등의 대량 구매를 약속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