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日 정상회담 내달 중국서 열린다

강경화·모테기 "계속 조율"
다음달 24일 개최 유력
한·일 양국이 다음달 중국에서 정상회담 개최를 추진하기로 했다.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의 조건부 연장에 이어 양국 관계 정상화를 위한 돌파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 23일 일본 나고야에서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과 외교장관 회담을 한 뒤 “다음달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개최될 수 있도록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철회돼야 한다고 분명히 밝혔으며 강제징용 문제 등에 대해선 외교당국 간 협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한·중·일 정상회의는 다음달 하순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열리며, 구체적 일정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한·일 정상회담은 24일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되면 지난해 9월 미국 뉴욕 유엔총회 이후 15개월 만이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4일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에서 ‘11분 환담’을 했다.

하지만 ‘지소미아 조건부 연장’ 합의를 둘러싼 한·일 간 신경전이 벌어진 데다 근본적 원인인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입장차가 커 순조롭게 정상 간 만남까지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 장관은 “일단 약간의 돌파구가 생겼고,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철회하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반면 모테기 외무상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동원 손해배상 판결 이후 압류된 일본 기업의 자산이 현금화된다면 한·일 관계가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지소미아 연장을 환영한다면서도 한·일 관계 악화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방해 요인이 돼선 안 된다는 메시지를 함께 냈다. 미 국무부 대변인실은 22일 “국방·안보 문제는 한·일 관계를 둘러싼 다른 분야와 별개로 남아 있어야 한다고 강하게 믿는다”고 밝혔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