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핀셋규제' 분양가 상한제…"대형 건설사들, 주가부진 불가피"

분양가 상한제, 수도권 집중
대형건설사, 실적·주가 부진 불가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서울 개포동과 대치동 등 27곳을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대상 지역으로 지정했다. 향후 대형 건설주(株)의 주가 하락이 불가피하다는 게 금융투자업계 진단이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전날 주거정책심의위원회(주정심)를 열고 분양가 상한제 대상 지역으로 서울 27개 동을 지정했다. 국토부는 대상 지역을 동(洞) 단위로 '핀셋 규제'에 들어갔다. 강남과 서초, 송파 등 22곳이 집중대상이 됐다. 개포주공1단지와 신반포3차 등 재건축 사업이 활발해서다.

비강남권인 마포, 용산, 영등포구 등 5곳도 분양가 상한제 대상 지역으로 지정됐다. 일부 단지가 후분양을 추진하거나 임대사업자에 매각을 추진하는 등 분양가 규제를 피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돼서다.

분양가 상한제 적용 지역보다 중요한 것은 이번 발표가 '1차' 지정이라는 것이다. 향후 고분양가 책정 움직임 등 시장 불안 우려가 있으면 신속하게 추가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면서 당분간 분양공급이 축소가 불가피해졌다. 건설사들의 실적은 물론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투자증권에 따르면 대형건설사들은 평균적으로 연간 분양의 25% 가량을 서울에서 실시했다. 이는 전국 분양에서 서울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인 11%를 두 배 이상 상회하는 수준이다.

김치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발표로 사실상 서울 전 지역은 분양가 상한제 적용을 위한 정량 요건을 충족해 언제든 규제가 가능한 상황"이라며 "수도권과 재건축을 중심으로 주택사업을 추진해온 대형건설사, 더 나아가 시멘트·건축자재 업종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전문가들은 건설주 가운데 이번 규제의 영향이 적으면서 개별 상승동력을 가진 업종에 관심을 가지라고 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주택규제의 영향이 미미하다. 특히 올 4분기에 이어 내년 초반까지 화학공업 분야에서 수주가 집중될 전망이다.

오경석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연내 아제르바이잔 가스처리시설, 사우디 우나이자 가스시설 등 22억 달러 규모의 수주 결과가 기대된다"며 "내년 초 이집트 폴리프로필렌(PP)-프로판탈수소(PDH) 공장 건설, 우즈베키스탄 비료 설비 기초설계, 말레이시아 사라왁 메탄올 공장 기초설계 등 총 26억 달러 규모의 수주 발표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 밖에 대우건설이 상승동력이 있다는 설명이다. 해외주택개발로 해외수주가 회복될 것으로 보여서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