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교사 1794명 "정시 확대는 역사의 퇴행"…'정시 확대' 반발 확산

6일 오전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계자 등이 교육 불평등 해소, 입시 만능경쟁교육 철폐를 위한 고등학교 교사 선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부가 대학 입시에서 정시 비율 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전국 고교 교사 1700여 명이 정시모집 확대를 ‘역사의 퇴행’으로 규정하고, 일선 교사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6일 오전 11시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 불평등 해소와 입시 만능 경쟁 교육 철폐를 위한 고교 교사 선언’을 발표했다. 이 선언에는 전국 고교 교사 1794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대학수학능력시험 중심의 정시 확대는 역사의 수레바퀴를 십년 전으로 퇴행시키는 동시에 교실 붕괴를 예견하게 하는 반교육적인 공교육 포기 선언”이라며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버리고 수능 문제집을 풀이하는 학교는 정상이라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이어 “정시 확대 정책은 경쟁 교육을 강화하고, 고교·대학서열을 옹호하는 정책이 될 수 밖에 없다”며 “교육격차 해소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문재인 정부가 정시 확대를 주장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전교조는 “정시 확대가 아니라 공교육 정상화가 시급하다”며 수능의 자격고사화, 외고·자사고 폐지 등 고교서열화 해소, 국공립대학네트워크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이틀 앞선 지난 4일 김승환 전북도교육감과 곽노현 전 서울시교육감 등 교육계 인사와 학부모 등 1500여 명도 정시 확대에 반발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교육부는 이르면 이달 셋째 주에 정시 비율 상향을 포함한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배태웅 기자 btu104@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