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인천 진출로 '보이콧 재팬' 난기류 돌파"

▽에어부산, 11월 인천 노선 취항…성장 포부 밝혀
▽한태근 사장 "하반기 업황 우려…中·동남아도 공급과잉"
한태근 에어부산 사장이 30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에어부산은 인천 취항이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한 여행 수요 부진 등 어려움을 극복하는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한태근 에어부산 사장은 30일 서울 소공동 더플라자에서 열린 인천 취항 기념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인천 진출로 항공기 가동률 제고와 원가 절감 효과가 나타날 전망"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일본 경제보복에 따른 '일본여행 불매운동'(보이콧 재팬)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인천 진출을 에어부산의 성장 기회로 삼겠다는 포부다.에어부산은 다음달 12일 인천~중국 닝보 노선을 시작으로 인천 노선 첫 운항에 나선다. 같은달 중국 선전 노선 취항을 포함해 올해 안에 중국 청두, 필리핀 세부, 대만 가오슝 노선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에어부산은 인천 취항을 계기로 현재 9.2시간인 가동률이 12.4시간으로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존 부산발 운항 노선을 인천발로 취항하는 만큼 고정비가 분산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다만 하반기 항공 업황이 녹록지 않다고 한 사장은 우려했다. 그는 "상반기에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하반기에도 업황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적자가 많이 난 노선을 대폭 줄이면서 내부적으로 경비절감에 나섰고 인천 진출을 돌파구로 감내하면 새 국면이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 사장은 "대구발 일본 노선을 83% 줄였고, 김해발 일본 노선도 42% 축소했다"며 "많은 LCC들이 중국과 동남아로 노선 늘리기에 나섰지만 공급과잉 상태인 만큼 쉽지않은 국면"이라고 토로했다. 일본 노선과 관련해 한 사장은 "수요가 다시 살아나지 않는다면 특별한 대안은 없다"면서도 "하반기 바닥을 다지고 앞으로 완만하지만 상승 곡선을 그릴 조짐이 보인다"고 기대했다.

또한 모회사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에 대해서 한 사장은 "예정된 스케줄대로 잘 진행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 제기된 분리 매각 가능성에 대해 그는 "(분리 매각될 경우) 가장 큰 문제가 되는 정비는 그동안 정비사를 200명 가량 뽑아 훈련시키고 있는 만큼 (경영에)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