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소셜임팩트] '샤테크 열풍' 샤넬, 명품의류·핸드백 1위 휩쓸어

소셜임팩트 - 평판이 기업명운 가른다

명품백
명품 의류와 핸드백 부문에선 ‘샤넬’이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소셜임팩트 조사였지만 명품 브랜드들은 국내에서 커다란 이슈가 없었기 때문에 인지도에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다.

샤넬은 명품 하면 떠오르는 대표 브랜드인 데다 ‘샤테크’(샤넬로 재테크)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제품 가격이 꾸준히 오른 것도 신뢰도를 높인 요인으로 분석된다.
샤넬은 명품 의류에선 31.0%의 신뢰도로 1위였다. 2위 ‘구찌’(19.3%)와의 격차가 컸다. 샤넬의 의류는 디자인 및 응대, 이용편리, 혁신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핸드백 부문에서도 샤넬은 23.1%의 신뢰도로 2위 구찌(17.0%)를 제쳤다.

명품 의류 부문에서 2~4위 경쟁은 치열했다. 2위는 최근 밀레니얼 세대 사이에서 인기가 급상승한 구찌가 차지했고, 3위엔 트렌치코트로 유명한 ‘버버리’(15.9%)가 이름을 올렸다. 4위 ‘에르메스’(14.2%)와는 1.7%포인트 차이였다. 5위는 ‘지방시’(6.9%)였고 6위는 ‘톰브라운’(4.7%), 7위 ‘꼼데가르송’(4.2%), 8위는 ‘이자벨마랑’(3.7%)이었다. 지방시는 품질 및 서비스에서, 톰브라운은 이용편리와 혁신 부문에서, 이자벨마랑은 가격과 윤리 부문에서 높은 신뢰를 얻었다.

핸드백 부문에선 에르메스가 13.5%의 신뢰도로 샤넬, 구찌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버킨백’ ‘켈리백’ 등 수천만원에 달하는 대표 핸드백이 유행을 타지 않고 꾸준히 인기를 끄는 점, 이 핸드백들을 사고 싶어도 생산량이 달려 구할 수가 없다는 점 등이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에르메스 핸드백이 품질과 서비스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반면 가격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받은 것이 이를 보여준다. 구찌는 친환경, 혁신, 품질 및 서비스에서 좋은 점수를 받아 2위에 올랐다.명품 핸드백에서 4위 ‘프라다’(12.3%)와 5위 ‘루이비통’(11.4%)의 격차는 크지 않았다. 6위는 지방시(7.6%)였고 7위 ‘디올’(4.6%), 8위 ‘생로랑’(4.0%), 9위 ‘보테가베네타’(3.5%), 10위 ‘발렌시아가’(2.8%) 순이었다.

명품업계에서는 잦은 가격 인상, 디자이너 교체에 따라 브랜드 선호도가 크게 나뉘는 점 등을 위험 요소로 보고 있다. 최근엔 인조 가죽 등을 사용하며 친환경, 윤리적 이미지를 강조하는 명품 업체도 늘고 있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