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정로 역세권 청년주택 임대료 싸지 않다"

직방 분석…주변 시세와 비슷
서울시가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하는 역세권 청년주택의 임대료가 과도하게 높게 책정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직방은 17일부터 청약 신청을 받는 역세권 청년주택 ‘어바니엘 위드 더 스타일 충정로’의 임대료를 인근 오피스텔·다가구주택 임대료와 비교한 결과 주변 오피스텔 시세와 비슷하거나 높았다고 밝혔다.직방이 역세권 청년주택인 ‘어바니엘 위드 더 스타일 충정로’의 전·월세전환율(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하거나 월세를 전세 보증금으로 환산할 때 적용하는 비율)을 적용해 주택형별 월세를 전세 보증금으로 환산한 결과 전용 20㎡가 1억2479만원, 전용 20~30㎡ 1억8495만원, 전용 30~40㎡가 2억557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충정로 인근 서대문·마포·종로·중구 등의 오피스텔 전세 보증금보다 높은 수치다. 역세권 오피스텔의 평균 환산전세금은 전용 20㎡ 1억3790만원, 전용 20~30㎡ 1억6913만원, 전용 30~40㎡ 1억8929만원 등이다. 역세권 청년주택의 환산 보증금이 전용 20~30㎡에서 1000만원 이상 높았다. 전용 30~40㎡에서는 일반 오피스텔보다 6000만원 이상 높게 책정됐다.

‘원룸’이라고 불리는 단독·다가구주택과 비교하면 차이가 더 심했다. 단독 다가구의 환산 전세 보증금은 전용 20㎡ 1억1512만원, 전용 20~30㎡ 1억3536만원, 전용 30~40㎡ 1억3545만원 등이다.역세권 청년주택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추진하는 대표적인 주거복지 정책 가운데 하나다. 서울시는 임대료가 시세의 85~90% 수준이라고 강조해왔다.

배정철 기자 bjc@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