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통합 핵심정책 정착에 최선…日경제보복 피해 최소화 힘쓸 것"

도약하는 경기

'경기도정 싱크탱크' 이한주 경기연구원장

특화된 방송·통신·콘텐츠·섬유·가구 산업
4차 산업혁명과 결합해 고부가산업으로 육성
“경기도의 역할은 경기도민들의 전체 삶의 질을 보장하고 사회적 통합을 강화하는 것인 만큼 경기연구원은 도내 곳곳에 ‘공정’과 ‘통합’이 정착될 수 있도록 경기도정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도정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는 이한주 경기연구원장(사진)은 “민선 7기 이재명 경기지사의 도정이 공정을 기반으로 추진돼 도민들 삶의 질이 한층 높아졌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핵심 정책들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올해 경기연구원의 역점 사업은.

“경기도정 운영 방안의 3대 가치인 평화, 공정, 복지 등의 정책 수행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본소득 연구 등 다양한 정책사업을 하고 있다. 도의 대표 사업인 기본소득과 관련해 쟁점, 모형, 법제, 정책 등에 대해 전반적인 연구를 추진 중이다. 기본소득의 핵심인 청년배당과 관련해 ‘경기도 청년배당 정책효과 분석’을 통한 사전·사후 비교분석도 하고 있다. 여기에 기본소득 집행에 필요한 재원 마련을 위한 ‘기본소득형 국토보유세 실행방안 연구’도 수행중이다. 이 밖에 경기북부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한 발전전략 수립,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한 과당경쟁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마련도 추진하고 있다.”

△경기도의 경제 현안은.“도의 가장 큰 경제 현안은 최근의 한·일 갈등으로 인한 도내 제조업 피해와 이로 인한 파급효과다. 도내에는 국내 제조업 사업체의 30%인 13만여 개 사업체와 일본 경제보복 조치의 핵심인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사업장이 대거 자리잡고 있다. 일본의 화이트리스트(수출절차 간소화 국가) 배제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가 다른 지역보다 크고 빠르게 나타날 수 있는 이유다. 삼성은 올해 화성(3292억원), 수원(2844억원), 용인(1291억원), 평택(916억원) 등에 막대한 지방세를 납부했다. 이들 지자체의 지방세수 중 삼성 계열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수준에 이른다. 하지만 최근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로 삼성의 실적 부진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경기연구원은 이 위기를 잘 극복해 나가기 위해 도에 단기적 대책으로 피해 우려 기업들에 대한 조사 및 긴급자금 지원, 수출규제 우려 품목에 수입선 다변화 지원, 소재·부품산업의 국산화 지원 등을 제안했다. 장기적으로는 소재·부품산업의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도 차원의 인프라 조성, 테스트베드 조성 등의 대책도 시급하다고 제안한 상태다. 경기연구원은 일본의 경제보복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과 앞으로의 소재·부품산업의 발전전략을 정밀하게 수립할 예정이다.”

△경기남·북부지역의 균형발전 정책도 공정의 범주에 포함되는데.

“그렇다. 제조업을 기반으로 경제성장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경기 남부지역과 달리 경기북부는 지정학적 위치 및 자연적 조건으로 인해 많은 규제를 받고 있는 지역이다. 하지만 작년 4월 27일 남북한 판문점선언, 6월 12일 싱가포르 회담 등으로 남북 긴장이 완화되면서 경기북부지역에 대한 개발 논의가 탄력을 받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경기북부지역의 특화산업인 방송·통신·콘텐츠·섬유·가구산업을 4차 산업혁명과 결합해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육성하는 경제성장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또 경기북부의 평화누리길, 주상절리길 등 대표 관광테마를 개발해 관광 트레킹 상품과 연계하는 정책도 마련 중이다. 경기연구원은 남북 화해 무드에 발맞춰 경기북부의 관광산업을 활성화해 경기남·북부 간 균형발전을 조기에 정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