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제품 수입 중소기업 52%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대한 대응준비 없어

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은 화이트리스트(수입 절차 간소화 국가) 배제에 대해 별도 대비가 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일본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에 대한 중소 수입업체 의견조사’ 결과 52.0%가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응해 ‘별도의 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고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준비가 다소 부족하다’는 응답이 38.4%였고 ‘충분하게 준비돼 있다’고 답변한 업체는 9.6%에 그쳤다고 덧붙였다.별도의 준비방안으로는 ‘재고분 확보’가 46.5%로 가장 높았다. ‘대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시장 발굴’(31.3%),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15.3%), 국산화 진행(6.9%)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일본과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현재 ‘부정적 영향을 느낀다’는 응답은 25.7%로 조사됐다. ‘아직 모르겠다’와 ‘부정적 영향 없다’는 응답이 각각 39.0%, 35.3%로 집계됐다.

현재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 때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는 중소기업은 67.3%로 나타났다. 영향을 받는 시기는 3개월 이내라는 답변이 36.3%로 높았고 4개월~1년 이내(26.7%), 1년 이후(4.3%)가 뒤를 이었다.일본의 수출 규제와관련해 정부가 우선 추진해야 할 분야로는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가 44.7%로 가장 높았다. ‘기업피해 최소화 및 공정환경 조성’(34.3%),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21.0%) 순으로 조사됐다.

중기중앙회는 이달 중 정부가 중점 육성코자 하는 100대 품목을 포함해 전 소재·부품·장비 생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과의 공동기술개발 수요를 파악하고, 발굴된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과 관련 대기업과의 매칭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구매 조건부 기술개발제도 활성화를 위해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 발굴 및 건의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를 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돼 왔다”면서 “앞으로 우수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를 대기업에 매칭하는 역할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