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복직' 조국, '폴리페서' 논란…학생들 "내로남불"

'폴리페서' 비판하던 조국
서울대 복직
학생들 "내로남불"
조국 '폴리페서' 논란 / 사진=연합뉴스
조국 전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이 서울대에 복직을 신청했다. 일각에서는 '교수직'을 유지하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며 논란이 제기됐다.

조국 전 수석은 1일 자신의 SNS를 통해 "훨씬 풍부해진 실무경험을 갖추고 연구와 강의에 임할 것"이라며 "친애하는 제자들의 양해를 구한다"고 밝혔다. 조 전 수석은 민정수석에서 퇴임해 지난 7월31일 서울대에 복직 신청서를 냈다.

현실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교수를 일컫는 '폴리페서' 논란이 뒤따랐다. 대학교수직을 발판으로 입신양명을 꿈꾸는 행태를 보이는 이들을 지칭한다.

조 전 수석이 지탄을 받는 까닭은 2004년 '폴리페서'라는 표현을 사용해 교수들의 정치 참여를 비판하는 글을 쓴 바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박상기 법무부 장관은 많은 교수들이 공직으로 휴직한다며 문제 삼기에는 시기상조라고 두둔했다.

조 전 수석은 "일부 언론이 나를 '폴리페서'라 공격하며 서울대 복직을 문제삼는다"라며 "민정수석 업무는 나의 전공(형사법)의 연장"이라고 밝혔다.

이어 "검찰개혁, 검경 수사권 조정, 법무부 혁신 등 평생 연구 작업을 실천에 옮기는 것에 다름 아니었다"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대 학생들의 온라인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는 "평소에 폴리페서 그렇게 싫어하던 분이 너무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있따랐다.

이에 조 전 수석은 "앙가주망(Engagement)은 지식인과 학자의 도덕적 의무"라고 말했다. 또 "서울대에는 임명직 공무원에 대한 휴직 불허 학칙과 휴직기간 제한이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류우익 전 대통령 비서실장, 윤영관 전 외교부 장관, 박재완 전 기획재정부 장관 등 교수직을 휴직하고 장관급 고위공직자를 지낸 인사들을 거명하며 "현재 나를 비방·매도하는 언론은 왜 이분들이 휴직할 때 가만있었는지 묻고 싶다"고 언급했다.조 전 수석은 "내 거취는 법률과 서울대 학칙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며 "교수의 임무는 연구, 강의, 사회봉사"라고 강조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