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금리 하락…우량기업 영구채 갈수록 인기

비우량채 금리까지 떨어지자
'고금리 우량채'에 매수세

한화생명·우리금융에 수요 몰려
대구銀, 1000억원 발행 예정
시장금리가 꾸준히 떨어지면서 개인투자자 사이에서 우량기업의 영구채(신종자본증권) 인기가 치솟고 있다. 영구채는 정해진 만기가 없거나 발행기업의 판단에 따라 무기한 연장할 수 있어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 채권이다.

2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대구은행은 30일 1000억원 규모 영구채를 연 3.4%의 금리로 발행한다. 기관투자가 대상 수요예측(사전 청약)에 앞서 제시한 희망금리 범위 최상단(연 3.7%)보다 0.3%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신용도가 우량한 고금리 채권이란 점을 눈여겨본 기관들이 물량확보 경쟁을 벌이면서 2700억원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대구은행의 영구채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네 번째로 높은 ‘AA-’다. 매수주문의 대부분인 2400억원이 증권사 소매판매부서를 통해 들어왔다. 인수 물량을 단위 농협이나 수협 등 서민 금융기관이나 개인들을 대상으로 되팔기 위한 수요다.

한화생명과 우리금융지주도 이달 풍부한 투자수요에 힘입어 각각 5000억원어치 영구채 발행에 성공했다. 연 3.69% 금리로 발행된 한화생명 영구채엔 7600억원의 매수주문이 몰렸다. 발행금리가 연 3.49%였던 우리금융지주 영구채에도 6470억원의 ‘사자’ 주문이 몰렸다. 우리금융지주는 당초 3500억원어치 발행을 계획했으나 넉넉한 수요가 모이자 발행금액을 대폭 늘렸다. 신용등급은 한화생명 영구채가 ‘AA’, 우리금융지주가 ‘AA-’다.

일반적으로 영구채는 발행기업의 청산으로 원리금을 돌려받을 때 우선순위가 다른 선순위 채권에 밀린다. 이 때문에 신용등급은 발행기업의 자체 등급보다 낮고 금리는 높다. 발행기업이 보통 5년 뒤 조기상환권(콜옵션)을 행사하기 때문에 시장에선 ‘5년 만기 고금리 채권’으로 받아들이고 있다.투자자들은 비교적 긴 만기나 콜옵션 미행사 위험 부담을 고려하더라도 비우량기업 회사채보다 투자 매력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동안 고금리를 기대할 수 있었던 BBB급(신용등급 BBB-~BBB+) 회사채 금리가 빠르게 떨어지면서 우량기업 영구채 금리마저 밑도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서다.

IB업계 관계자는 “기업 실적이 최근 두드러지게 악화하면서 비우량 회사채의 투자위험 대비 기대수익이 떨어진 상태”라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만기가 조금 더 길더라도 우량등급 영구채가 낫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