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정치 신인 50% 가산점' 혁신위 공천안 놓고 '시끌'

신상진 위원장 "현역 더 노력해야"
친박계는 공공연하게 불만 표시
반발 우려한 지도부, 공식발표 안해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왼쪽 다섯 번째)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일본 수출규제대책특별위원회’에서 정진석 의원(네 번째), 신각수 전 주일대사(여섯 번째) 등 참석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치 신인에게 최대 50% 가산점을 주는 자유한국당 신(新)정치혁신특별위원회의 공천안을 둘러싸고 당내 반발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당 혁신을 위해선 ‘물갈이’가 필요하다는 게 공천안의 취지지만 현역 의원에게 지나치게 불리하다는 불만이 불거지고 있다.

신상진 한국당 신정치혁신특위 위원장은 24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특위의 공천안에 대해 “현역 의원들 사이에 ‘가점이 너무 많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는 것은 맞다”며 “하지만 지지를 못 받는 현역이라면 좀 더 노력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신인에게 50% 가산점을 주더라도 현역이 그동안 잘해왔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신 위원장은 최근 정치 경험이 전무한 신인에게 최대 50%, 청년·여성에게 40% 가산점을 주고, 탈당이나 공천 불복 전력이 있는 현역 의원은 최대 30% 감점하는 공천안을 마련해 황교안 대표에게 보고했다. 이 안이 내년 총선에 적용된다면 물갈이 폭은 커질 수밖에 없다. 현역 의원들의 반발 조짐이 나타나자 신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특위 공천안의 적합성을 강조한 것이다.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한 의원들은 특위 공천안에 공공연하게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선거를 좀 치러본 사람이라면 정치 신인에게 50% 가산점을 주는 게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알 것”이라며 “이기는 선거를 하는 게 우선인데 지나치게 낭만적인 공천안”이라고 지적했다. 특위가 더불어민주당 공천안보다 더 혁신적인 안을 내놔야 한다는 압박 때문에 신인에게 지나치게 높은 가산점을 적용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 5월 여성과 청년 등에게 최대 25%, 정치 신인에게 20%의 가산점을 주는 공천룰을 확정했다. 한국당의 한 대구지역 의원은 “민주당 공천안과 혁신 경쟁이 붙은 것 같다”며 “공천룰은 밖에 보여주기 전 내부 설득이 더 중요하다”고 꼬집었다.

한국당은 신 위원장이 보고한 특위 공천안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있다. 현역 의원들의 반발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설익은 공천안을 공개해 미리 분란을 일으킬 필요가 없다는 게 당 지도부의 입장이다. 지도부 소속 한 의원은 “애초에 특위의 안을 최고위원회에 올려 의결한다는 약속 같은 걸 한 적이 없다”며 “특위에서 많은 논의를 통해 올린 안이겠지만 바로 한국당의 공식적인 ‘공천룰’이 될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고은이 기자 kok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