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지 너무 자주 파면 세균감염 위험 높아져요"

귀지는 침투하는 세균 막는 역할
그냥 둬도 자연히 귀 밖으로 배출
면봉으로 귀 겉부분만 청소해야
여름철 물놀이 또는 샤워를 한 뒤 귀이개 등을 사용해 습관적으로 귀를 파내는 사람이 많다. 이는 귀 건강을 위협하는 행동이다. 수분으로 약해진 귀속을 자극해 외이도염이나 고막천공 등의 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나윤찬 고려대 안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귀지는 지저분해 보일 수 있지만 귀 안쪽에 침투하는 세균을 막는 역할을 한다”며 “무리하게 귀지를 제거하면 오히려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귀지는 강제로 제거하지 않아도 된다. 외이도와 고막 피부는 귀 바깥 방향으로 자란다. 귀지를 그냥 둬도 자연히 귀 밖으로 배출된다. 귀지는 병원균과 싸우는 라이소자임과 면역글로불린으로 이뤄져 있다. 세균이 피부에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오히려 건강에 도움이 된다. 더욱이 귀지가 많아도 소리를 듣는 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귀를 자주 파면 세균 침투를 막아야 할 귀지가 완전히 사라져 세균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외이도 피부 지방층이 파괴돼 급성 염증이 생기기 쉽다. 만성 외이도염으로 이어질 위험도 높다. 만성염증으로 귓구멍이 좁아져 청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아기들도 마찬가지다. 성인처럼 저절로 귀지가 배출된다. 움직임이 크거나 겁 많은 아이는 귀지를 제거하다 염증이 생기기도 한다. 집에서 귀지를 제거하는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

목욕을 한 뒤에는 면봉으로 귀의 겉 부분만 가볍게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 귀지의 양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자체적으로 귀지를 제거하는 능력이 떨어진 일부 노인은 귀지에 의한 외이도 폐색증을 호소할 위험이 있다. 청력 저하가 생길 수 있다. 다만 이런 경우는 흔치 않다. 이때는 병원을 찾아 귀지를 제거하면 된다. 나 교수는 “귀를 후비다가 귀지를 속으로 밀어 넣으면 오히려 더 큰 문제가 생긴다”며 “귀지 때문에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다면 병원을 찾아 제거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