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단사원과도 아이디어 주고받는 김택진…'AI'에 8년째 공들이는 NC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
"엔씨소프트에서 가장 놀란 것은 대표와 이 정도까지 (인공지능에 대해) 얘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이재준 엔씨소프트 AI센터장은 지난 18일 열린 'NC AI 미디어토크'에서 "김택진 대표가 AI센터에 얼마나 관여하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대표가 직원들과 직접 AI 관련 아이디어를 주고받을 만큼 수평적으로 소통하며 이해도 또한 높다는 얘기였다.김 대표는 평소 엔씨소프트 AI센터 연구개발(R&D)의 세세한 부분까지 직원들과 의견을 나눈다는 전언. 이 센터장이 AI를 게임에 활용하는 방안을 두고 막막해할 때 직접 방향을 제시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센터장은 "보통은 대표가 보고만 받는데 엔씨소프트는 대표와 프리젠테이션(발표)도 하고 세부 논의도 하는 게 차이점이다. 김 대표가 알려주는 관련 정보도 많다"고 귀띔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 2011년 당시 윤송이 사장을 주축으로 AI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윤 사장이 회사 사정으로 미국으로 떠난 이후 김 대표가 직접 AI R&D 조직을 이끌고 있다. 엔씨소프트의 AI 연구조직인 AI센터와 NLP(자연어처리)센터는 모두 김 대표 직속으로 돼 있다.엔씨소프트는 AI가 미래경쟁력이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AI는 게임 산업에서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 머신러닝(기계학습)을 통해 게임 유저들의 욕설이나 불법행위 등을 잡아낼 수 있다. 월간 이용자 데이터를 분석해 매출을 파악하고 비정상적 유저도 탐지하는 식이다.

AI는 그래픽 작업을 도와 게임 개발자의 수작업을 줄이는 역할도 수행한다. AI가 게임 개발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셈이다. 김 대표가 AI에 주목하는 이유도 그 연장선상이다. 엔씨소프트는 게임의 음성 조작뿐 아니라 개발 편의나 게임 기획 지원을 위한 AI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김 대표는 최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 만나 AI를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주고받았다. AI가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데 어떤 역할과 기여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에는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대표와 만나기도 했다.부쩍 AI에 공을 들이는 김 대표의 행보가 엔씨소프트의 AI R&D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