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원 통계도…"서울 아파트 값 올랐다"

매매, 8개월 만에 0.02% 올라
전셋값도 36주 만에 상승 전환
국가 공식통계에서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일제히 상승 전환했다. 매매·전세 가격이 동반 상승한 것은 지난해 10월 22일 이후 36주 만이다.

4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0.02% 올랐다. 전주에는 보합세(0.00%)였다. 서울 아파트값은 11월 5일 이후 8개월 만에 처음으로 올랐다.

강남구와 송파구를 비롯해 목동 여의도 등 재건축 기대가 높은 지역들이 반등을 이끌었다. 강남구는 전주 0.03%에서 이번주 0.05%로, 송파구는 0.02%에서 0.04%로 상승폭을 키웠다. 비강남권에선 재건축 기대가 큰 양천구(목동)와 영등포구(여의도동)가 각각 0.06% 올랐다. 이들 구는 서울 자치구 중 가장 상승률이 높았다. 용산(0.05%) 서대문(0.04%) 동작·마포(0.03%) 등 서울 14개 구가 이번주에 상승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외곽이나 입주물량이 많은 곳은 하락하는 등 상승세와 하락세가 혼재된 양상”이라고 전했다.전셋값도 전주 보합에서 이번주 0.01%로 상승했다. 지난해 10월 셋째주(0.04%) 이후 36주 만에 상승 전환했다. 강남구(0.02%)와 서초구(0.06%) 송파구(0.06%) 등이 상승흐름을 주도했다. 서대문구(0.06%)는 일부 하락폭이 컸던 단지에서, 마포구(0.05%)는 역세권 단지에서 반등이 나왔다.

경기도에선 분당구가 지난해 10월 넷째주 이후 처음으로 상승으로 돌아섰고, 개발 기대감이 큰 광명시(0.40%)와 과천시(0.25%)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유정 기자 yjl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