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 DMZ만남…즉흥제안에 김정은 득 없어 가능성 작아

가능성 낮아...북, 협상 재개 분위기속 대미·대남 압박 중
김정은·트럼프, 예측 불허 즉흥 스타일로 만남 배제 못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9일 한국 방문을 앞두고 비무장지대(DMZ)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고 싶다고 피력했지만, 성사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침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일본 오사카를 방문 중 트윗으로 "우리는 거기(DMZ)에 갈 것"이라며 김 위원장과 만날 의향을 내비쳤다.

그는 이어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와 조찬을 하면서 취재진과 만나 트윗 글에 대해 "오늘 아침 생각한 것"이라며 "내가 한 것은 '당신도 만나고 싶은 마음이 있는지' 속을 떠본 것(put out a feeler)"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김정은)가 만약 거기(DMZ) 온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2분 동안 만나는 게 전부겠지만 그래도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이와 관련, 고민정 대변인은 "현재 확정된 것은 없으며, 북미간 대화가 이뤄지길 바라는 우리의 기존 입장에는 변함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기대에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호응해 DMZ에서 만남이 이뤄질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북미 정상이 하노이 회담 결렬 이후에도 친서를 교환하며 '친분 유지'를 강조하고 있지만, 양국은 여전히 70년 이상의 대립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동맹을 기반으로 한 한미 및 미일 관계와 다를 뿐 아니라 양국 정상의 만남이 즉흥적 결정으로 이뤄질 정도는 더더욱 아니다.

친밀한 한미 및 미일 정상의 만남도 경호와 일정 등 사전 준비 없이 이뤄지기 쉽지 않다.

특히 북한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로 한동안 정체국면이던 비핵화 협상이 최근 재개될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서도 미국의 태도 변화를 끌어내기 위해 압박 공세를 펴고 있다.권정근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은 지난 27일 담화에서 "조미 대화가 열리자면 미국이 올바른 셈법을 가지고 나와야 하며 그 시한부는 연말까지"라면서 "미국이 쌍방의 이해관계에 다 같이 부합되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할 생각은 하지 않고 대화 재개를 앵무새처럼 외워댄다고 하여 조미(북미) 대화가 저절로 열리는 것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런 국면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에 순순히 호응한다면 오히려 북미 대화에 대해 다급함과 조바심만 드러내는 꼴이어서 득이 될 게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트럼프 대통령의 DMZ 방문에 문 대통령이 동행하는 데, 최근 문 대통령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는 북한 매체의 비난 수위도 성사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권정근 국장은 담화에서 남쪽 당국을 향해 북미 관계가 양국 정상의 '친분'에 의해 나가고 있다며 "(북미)협상을 해도 조미가 직접 마주 앉아 하게 되는 것만큼 남조선 당국을 통하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니 '참견 말라'고 못 박았다.

그런가 하면 북한 대외 선전매체들은 최근 문 대통령의 북유럽 순방 연설에 '격앙'된 반응을 보이며 거칠게 비난하고 있다.

지난해 5월 즉흥적으로 이뤄졌던 판문점 2차 남북정상회담의 경우 당시만 해도 남북 정상의 신뢰를 바탕으로 김 위원장이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이 불발된 위기에 처하자 전격 손을 내밀었기 때문에 성사됐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비핵화 협상 재개를 두고 미국과 기싸움을 하는 중인 데다,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도 비난하는 상황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에 DMZ에 온다는 건 모양새나 외교적으로나 좋을 게 없다고 판단해, 북미 정상 만남은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모두 예측을 불허하는 리더십과 즉흥적 스타일이어서 성격적으로 유사한 두 사람의 케미로 만남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도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만약 전격적으로 남북미 정상의 DMZ 회동이 성사된다면 부족한 신뢰를 채우고 본격적인 협상에 나설 동력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