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협의 없었다" 정개특위위원장 교체에 반발…범여권 '균열'

"심상정을 희생양 삼았다"
민주당에 강하게 유감 표명
평화당도 "국회 관례 무시" 반발
정의당은 28일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정치개혁특별위원회와 사법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직을 나눠 갖기로 합의하자 “사전에 전혀 상의가 없었다”며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사진)이 맡고 있는 정개특위 위원장직을 뺏기게 됐기 때문이다. 민주평화당도 “국회 관례를 무시한 것”이라고 반발하고 나서 범여권 결속이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회의에서 “(여야 3당) 합의는 지금까지 심 의원을 지속적으로 비난하고 심지어 ‘민주당의 용병’이라는 막말까지 해온 한국당에 굴복한 것”이라며 “심 의원을 희생양으로 삼은 민주당에 특히 강력한 유감과 항의의 뜻을 표한다”고 말했다.

심 의원도 기자회견을 열고 “여야 3당 간 합의로 쉽게 말해 해고됐다”며 “이런 중대한 변화를 결정하면서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해 어안이 벙벙하다”고 말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여야 3당 합의에 앞서 정의당에 대해 “의석수 몇 개와 영혼을 거래하고 여당의 용병 부대를 자처하는 야당 같지 않은 야당”이라고 비난했다.정의당 내부는 민주당에 ‘토사구팽(兎死狗烹)’ 당했다며 부글부글 끓는 분위기다. 정의당 관계자는 “그동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 과정에서 ‘민주당 2중대’라는 비아냥을 들으며 총대를 메고 민주당을 도왔다”며 “정치 도의상 이렇게 상의도 없이 내칠 순 없다”고 말했다.

논의 과정에서 배제된 민주평화당도 불편한 기색을 비쳤다. 박지원 평화당 의원은 “국회는 특위를 포함한 원 구성을 할 때 한 번 합의하면 끝날 때까지 유지한다”며 “국회 관례를 무시하고 원 구성에 합의한 민주당 원내대표단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이날 합의에 대해 민주당 내부에서도 아쉽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여야 합의 직후 의원총회에서 “예산결산위원회 위원장을 선출하지 않은 것이 아쉽다”며 “예결위원장을 선출하지 않기 위해 한국당 몫 상임위원장도 선출하지 않는다고 하는데, 이럴 때 ‘졸렬하다’는 표현이 제일 적절하다”고 비판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