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보증부 가계대출, 5년 만에 100兆 급증

국내 은행 보증부 가계대출이 5년여 만에 100조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보증부 가계대출은 아파트 중도금 대출, 전세자금 대출처럼 주택도시보증공사 등에서 보증받는 대출을 말한다.

한국은행이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신한·국민·우리·KEB하나·농협 등 5개 은행의 보증부 가계대출 잔액은 올해 3월 말 127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2013년 말(27조5000억원)과 비교하면 99조8000억원 증가했다.공적 기관 보증이 있어서 주택담보대출에 비해 위험은 낮지만 금리는 높은 편이다. 전체 가계대출에서 보증부 대출의 비중도 2013년 말 6.0%에서 올해 3월 말 15.3%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이 같은 양상은 주택 분양시장 활성화와 전세가격 상승 등으로 부동산 관련 보증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 크다. 보증부 가계대출 증가액의 85.4%에 해당하는 82조2000억원은 전세자금과 주택구입자금 등 부동산 관련 대출에 집중됐다.

과도한 보증부 대출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보증부 가계대출이 빠른 속도로 늘어 가계부채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금융시스템 안정성 및 금융소비자 보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공적 기관을 통한 보증부 대출 취급이 많을수록 은행의 리스크 관리 능력이 떨어지고 개인의 신용관리도 허술해지기 때문이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