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정 대변인, 재산 5억7800만원 신고…청와대 신임 공직자 재산공개

청와대 신임 공직자 재산 공개
고민정, 5억7800만원 신고
이공주 과학기술보좌관 41억원 신고
고민정 /사진=연합뉴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이 5억7천여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 2월 임용되거나 퇴직한 전·현직 고위공직자 32명의 재산등록사항을 31일 관보에 개재했다. 대상은 신규 5명, 승진 9명, 퇴직 14명 등이다.공개된 대상자 중 지난달 임명된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5억78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고 대변인은 지난 2월 2급(선임행정관)에서 1급(비서관)으로 승진해 이번 재산공개 대상에 포함됐다.

고 대변인은 본인 명의의 서울 서대문구 남가좌동 아파트 전세권 4억4900만원과 예금 1억4200만원, 채무 2300만원 등의 재산을 신고했다.

지난 2월 임명된 이공주 대통령 과학기술보좌관은 총 41억원을 신고해 공개된 32명의 고위 공직자 중 두 번째로 재산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여대 교수를 지낸 이 보좌관은 공동명의인 서울 종로구 부암동 단독주택과 본인 명의의 서울 용산구 오피스텔, 모친 소유의 목동 아파트 등을 신고했다.오종식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은 서울 마포구 상암동 아파트 전세권 3억2천만원과 상속받은 제주도 서귀포시 과수원 1억5천만원, 예금 1억8천만원 등 7억7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신상엽 청와대 제도개혁비서관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아파트 전세권 3억1천만원과 예금 2억1천만원 등 3억9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달 초 주일대사로 부임한 남관표 전 국가안보실 2차장은 서울 중구 회현동 아파트 전세권 6억원, 예금 11억원을 포함해 15억원의 재산을 신고했다.이번에 재산이 공개된 현직 고위공직자 중 재산총액 상위자는 원윤희 전 서울시립대 총장(49억9천만원), 이공주 보좌관(41억원), 고대만 전 제주대 부총장(27억원) 순이었다.

원윤희 전 총장과 고대만 전 부총장의 경우 현재는 각각 총장직과 부총장직에서 물러난 상태지만 보직 변경으로 공무원(교수) 신분은 그대로 유지해 현직자로 분류됐다.

반면 현직자 중 재산총액 하위자는 김성호 강원도 행정부지사(3억4,000만원), 신상엽 제도개혁비서관, 진승호 기획재정부 균형발전위원회 기획단장(4억6,000만원) 순으로 나타났다.지난 2월 물러난 이상철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은 8억5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고, 남관표 전 국가안보실 2차장은 14억95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남 전 차장은 퇴직한 고위공직자 중 재산이 가장 많았다. 그는 재산등록 기준시점인 지난 2월 이후 주일대사에 임명된 만큼 퇴직자로 분류됐다.

퇴직한 고위공직자 중에선 남관표 전 차장에 이어 김판규 전 국방부 해군정책연구관(12억5천만원), 이종섭 전 국방부 육군정책연구관(12억1천만원) 순으로 재산이 많았다.

이 밖에 박영수 한국시설안전공단 이사장은 17억5천만원, 김현숙 새만금개발청장 17억8천만원, 이숙진 전 여성가족부 차관 4억2천만원, 이철우 전 새만금개발청장은 12억원의 재산을 각각 신고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