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 30대가 40대 턱밑까지 추격

(사진=연합뉴스)
올해 40대 장년층의 서울 아파트 매입이 다소 주춤한 사이 상대적으로 30대의 매입 비중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연령대별 주택·아파트 매매거래량 통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는 총 7795건으로 40대의 매입 비중이 26.7%(2078건)로 가장 컸다. 하지만 30대의 매입 비중도 26.1%(2034건)로 40대와 별 차이가 없었다.올해 1월 관련 통계가 처음 발표됐을 때만 해도 40대가 28.4%, 30대가 25.4%로 격차가 났지만 2, 3월 들어 30대의 매입 건수가 40대를 앞지르면서 올해 1분기(1∼3월)에는 30대의 매입비중(26.7%)이 40대(26.1%)를 앞질렀다.

그러나 4월 들어 다시 40대의 매입 비중이 높아지며 30, 40대가 1, 2위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이다.

최근 다주택자는 물론 1주택자에 대한 대출·세금 규제가 강화되면서 1주택 이상 보유비중이 큰 40대 이상보다는 무주택 실수요 중심인 30대의 주택 매입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최근 젊은층의 아파트 선호현상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며 "경제적 여유가 있는 40대와 은퇴를 앞둔 50대는 아파트 외에도 임대사업 목적의 다가구나 연립, 재개발·재건축 대상 단독주택도 많이 사는 반면 30대는 생애 첫 구입주택으로 아파트를 희망하는 경우가 늘면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매입 비중이 커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