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데 덮친 韓 경제…"글로벌 관세율 1%P 오르면 GDP 0.65% 감소"

수출 비중 높아 무역전쟁에 취약
올 성장률 2% 밑으로 추락 우려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최대 25% 관세 부과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가면서 세계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미국과 중국 모두에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가 취약하다는 분석이다. 관세가 오르면 중국의 대(對)미 수출이 감소하면서 반도체 등 전기·전자 분야 중간재를 중국으로 수출하는 한국도 직격탄을 받기 때문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의 ‘2019년 4월 세계경제전망’에 따르면 글로벌 관세율이 1%포인트 인상되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은 0.65%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IMF가 분석한 9개 국가 중 한국의 GDP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독일(0.48%)이 뒤를 이었고, 일본(0.33%)과 중국(0.27%) 순으로 높았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10일부터 2000억달러(약 235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최고 25%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관세 대상 품목은 중국산 가방, 의류, 식료품 등 소비재를 포함해 총 5745종이다.

전체 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25%에 이르는 한국으로선 큰 악재다. 한국 기업들이 중국에 수출하는 물품 중 상당수가 중국에서 가공돼 미국으로 향한다. 한국은행이 작년 11월 발간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총수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24.8%)의 78.9%가 중간재다. 중국의 수입 중간재가 수출용으로 사용되는 비중은 28.7%다. 결국 미국 관세로 중국의 대미 수출이 감소하면 연쇄적으로 한국이 타격을 받는다는 얘기다.국제무역연구원도 한국의 대중국 수출 물품 중 5.0%가 미국을 최종 귀착지로 삼는다고 분석했다. 대중국 수출품 가운데 미국을 종착역으로 삼는 비중은 대만이 6.5%로 가장 많았고 한국(5.0%), 일본(3.8%), 독일(2.0%) 순이었다. 이 조사로도 한국은 대만에 이어 두 번째로 타격을 받게 된다. 중국이 미국과 똑같은 방식으로 보복 관세 범위를 확대하면 한국의 피해는 더 커진다. 한국의 전체 수출 대비 미국 시장 비중은 지난달 말 기준 13.5%에 이른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고 반도체 경기가 회복되지 않으면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2% 밑으로 추락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