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러 만난 날 푸틴 최측근 접견한 문재인 "북·미 대화 재개와 비핵화 촉진 시급"

"6월 G20서 푸틴과 회담 희망
이른 시일에 김정은도 만날 것"
< 文대통령 예방한 푸틴 최측근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청와대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연방안보회의 서기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러 정상회담이 열린 25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최측근’을 접견한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이 북·미 회담 재개와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 촉진의 밑거름이 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접견실에서 니콜라이 파트루셰프 러시아 연방안보회의 서기와 만나 “오는 6월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푸틴 대통령을 만나게 되길 희망하고, 가급적 이른 시기에 한국을 방문해 주기 바란다”며 이처럼 말했다.러시아 연방안보회의는 한국의 국가안보실에 해당한다. 특히 파트루셰프 서기는 푸틴 대통령의 ‘오른팔’로 알려져 있다. 이날 접견은 오래전에 계획된 한·러 고위급 안보회의를 계기로 이뤄졌다. 공교롭게 북·러 정상회담과 일정이 겹치며 동시간대 열린 회담과 관련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파트루셰프 서기는 문 대통령에게 “러시아와 한국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이라는 똑같은 목표가 있다”며 “북·러 회담 결과는 외교채널을 통해 신속히 알리겠다”고 했다.

파트루셰프 서기는 또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관련해 러·중 양국이 공동행동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전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인 양국이 북한의 비핵화 조치 및 대북 제재 완화와 관련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이에 “지금 시급한 과제는 북·미 대화 재개와 비핵화 촉진”이라며 “공동 행동 계획도 미국과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범아시아권 20개국, 24개 영어 매체로 결성된 아시아뉴스네트워크(ANN) 이사진을 접견한 자리에서 “이른 시일 내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날 것이며, 북·미 대화 또한 촉진할 것”이라고 각오를 다지기도 했다. 지지부진한 남북 정상회담을 조속히 이끌어내겠다는 전략이다.‘4·27 판문점선언 1주년’을 이틀 앞둔 청와대는 이날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주재로 남북공동선언 이행추진위원회를 열고 지난 1년을 평가했다. 노 실장은 “지난 1년은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한 기적 같은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다”며 “판문점선언에서 시작해 남북 정상은 ‘필요하면 만날 수 있는 관계’로 발전했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이번 이행추진위원회를 통해 4·27 판문점선언 1주년을 평가하고, 3차 미·북 정상회담을 이끌어내기 위한 남북 정상회담 추진 방안 등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 실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4차 남북 정상회담을 차질 없이 준비하는 것”이라고 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