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脫원전 후유증 8년…비싸진 전기료에 '부글부글'

아베의 원전유턴 정책에도
대지진 이후 원전비중 3%뿐
화석 연료 의존 전기료 치솟아
일본에서 원자력 발전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화력 발전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면서 비싸진 전기요금이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2011년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이후 원전 가동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급상승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1일 “동일본 대지진 8년이 지났지만 원전 재가동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면서 전체 발전 중 화석연료 의존율이 80%를 넘고 있다”고 보도했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54기에 달했던 일본 원전들은 일제히 가동을 멈췄다. 당시 간 나오토 총리는 2030년까지 ‘원전가동 제로(0)’를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원전의 빈자리는 액화천연가스(LNG),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 발전으로 메웠다. 2010년 65.4%였던 화석연료 비중은 2017년 80.8%까지 높아졌다. 원전 비중은 3.1%로 지진 발생 전(25.1%)에 크게 못 미친다. 원유와 LNG 등 화석연료는 가격 변동이 심해 안정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전기요금 상승으로 이어져 국민과 기업 부담이 커졌다.

도쿄전력에 따르면 월 260㎾h를 사용하는 가정의 지난해 전기료(월 7015엔)는 대지진 이전에 비해 25%(약 1400엔)가량 상승했다. 2인 이상 가구 소비지출에서 전기·가스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1%포인트가량 높아졌다.원전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늘고 있다. 나카니시 히로아키 게이단렌 회장은 “신재생에너지만으로는 필요한 전력을 조달할 수 없다”며 “원전 재가동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2년 말 출범한 아베 신조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의 22~24%가량을 원전으로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2017년부터 단계적으로 원전 재가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반대여론이 만만치 않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