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폄훼' 김진태·김순례 징계 늦춰지나

한국당 윤리위원장 사퇴
징계절차 상당기간 지연될 듯
김영종 자유한국당 윤리위원장이 5일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이에 따라 ‘5·18 폄훼 발언’ 논란을 빚은 김진태·김순례 의원에 대한 당 차원의 징계 논의가 상당 기간 늦춰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예전부터 비상대책위원회 활동이 종료되면 사퇴할 것이란 입장을 계속 밝혀 왔다”며 “전당대회가 치러진 지난달 27일 당에 사의를 전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작년 9월 김병준 당시 비대위원장이 임명했다. 당 일각에서는 두 의원 징계 여부에 당 안팎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부담을 느낀 김 위원장이 사의를 밝힌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나왔다.나경원 원내대표는 “당대표가 새로 선출되면 윤리위원장을 비롯한 당직을 교체하는 게 관례”라며 “누가 (윤리위원장을) 하든 징계는 가급적 빨리 마무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황교안 대표는 대표 선출 이후 김진태·김순례 의원에 대한 징계 방향을 묻는 질문에 수차례 “윤리위의 결정을 지켜보겠다”고만 답했다. 윤리위의 징계안은 황 대표가 주재하는 최고위원 회의 의결을 거쳐 확정된다. 하지만 김 위원장이 사퇴하기로 하면서 윤리위 회의도 당분간 열리지 않게 됐다. 한국당 관계자는 “새 윤리위원장 선임까지 최소 1주일 정도는 걸리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당 안팎에선 두 의원에 대한 징계가 미뤄지면서 새 지도부가 ‘5·18 논란’을 조기에 털어내지 못하고 정치적 부담만 더 지게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새 지도부가 ‘과거 프레임(틀)’에 발목이 잡혀 있으면 대여 투쟁력이 약화되고 당 지지율도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한국당 지도부는 두 의원 징계안을 확정하는 최고위원 회의에 최고위원 중 한 명인 김순례 의원의 참여를 배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나 원내대표는 “징계 당사자가 포함된 안건은 제척 사유에 해당하기 때문에 김 의원이 최고위 의결 때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했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