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수소경제' 앞장선다

2030년까지 사업비 6200억 투입
부품 산업 생산시스템 등 지원
지난해 10월부터 노선버스로 시범운영 중인 124번 수소전기버스에 승객들이 타고 있다. /울산시 제공
울산시가 국내 최대 수소산업 인프라를 전·후방 산업과 연계해 국내 수소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수소 융·복합밸리 조성에 본격 나섰다.

시는 2030년까지 국비와 민자 등 6200억원을 들여 100만㎡ 규모의 수소 융·복합밸리와 수소산업 종합연구단지를 조성해 수소 생산과 저장, 이송, 활용 등 수소산업 전·후방 효과가 뛰어난 연관기업 100여 개를 유치하기로 했다고 18일 발표했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이 울산을 세계 최고 수소경제 선도도시로 집중 육성하기로 한 데 따른 후속 대책으로 마련됐다.시는 이날 시청에서 수소경제 연관기업 14개사와 고용·투자확대 업무협약을 맺고 후속사업 발굴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현대자동차, SK가스, 에쓰오일, 두산, 효성중공업, 덕양, 세종, 동희산업, 현대로템, 자이언트드론, 한국선급, 한국수소산업협회 등이 참석했다.

시는 이들 기업, 기관과 공동으로 수소 융·복합밸리에 수소전기차와 관련 부품산업 생산시스템, 연구개발, 기업지원, 마케팅 등 수소경제를 선도할 전주기 사업지원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

시는 2024년까지 국비와 시비 등 400억원을 들여 세계 수소시장 선점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수립하고 연구개발을 담당할 수소산업진흥원 유치에도 나서기로 했다.정부기관인 수소산업진흥원 업무는 수소경제 정책 수립, 수소 관련 연구개발, 연관산업 육성, 수소 생산과 충전, 보급 인프라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 다양하다. 시는 수소산업진흥원 설립과 운영 방안 연구를 위해 연구용역에도 들어갔다.

시는 오는 26일에는 UNIST(울산과학기술원)에서 수소 관련 기업과 연구기관 등을 초청해 ‘울산 수소산업의 날’ 기념과 2030년 세계 최고 수소도시 조성을 위한 비전선포식을 열기로 하는 등 세계적 수소도시 선점을 위한 범시민 분위기 확산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2030년까지 수소전기차 6만7000대와 수소버스 300대를 보급해 울산을 세계적인 수소산업도시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