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문재인 대통령·트럼프, 조만간 통화…미·북 2차회담 의견 조율"

美·北 하노이 2차 정상회담

韓·美 양국 전방위 소통

강경화·폼페이오 양자회담 예고
비건 "韓·美 같은 페이지에 있다"

美·北 후속 협상은 내주 진행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성패를 가늠할 ‘하노이 회담’을 앞두고 한·미 양국이 전방위 소통에 나선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조만간 2차 미·북 정상회담과 관련한 정상 간 대화를 추진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10일 브리핑에서 “한·미 정상은 조만간 (2차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한) 논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만남이 3주가 채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한·미 정상은 전화 통화를 통해 의견을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양자회담도 예고됐다. 김 대변인은 “한·미 간 긴밀한 공조는 각급 단위에서 계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하면서 “강 장관과 폼페이오 장관이 조만간 장관급 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도 긴밀히 정보를 교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평양에서 2박3일간 열린 미·북 실무협상에 대한 후속 협상도 다음주께 진행된다. 김 대변인은 “북·미가 다음주 아시아의 제3국에서 협상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한다”고 했다. ‘아시아의 제3국’은 회담 장소인 베트남 하노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상회담을 불과 1주일 앞둔 상황에서 ‘하노이 선언’에 담길 내용을 두고 핵담판 무대인 하노이에서 막바지 협상을 벌일 것이란 설명이다.청와대는 평양에서 벌어진 사상 첫 실무회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협상 후 서울로 돌아와 정 실장과 만난 스티븐 비건 대북정책특별대표는 “평양에서 환대를 받았다”며 “이번 북·미 실무협상은 뭘 주고받을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협상이라기보다는 서로가 뭘 요구하는지 입장을 아주 구체적으로 빠짐없이 터놓고 얘기하는 유익한 기회였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이번 협상 과정에서 한·미 간 긴밀한 공조를 재확인했다”며 “비핵화를 풀어가는 방식에서 한·미 정부 간 입장차가 없음을 확인했다”고 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