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 묻지 않고 공짜로 개발자 교육하는 佛, 매년 수만명씩 외국 개발자 데려오는 美

한국은 경직된 학제로 개발자 공급 늘리기 힘들어
외국인 개발자 비자 신설도 검토해 볼만
정해진 학기도, 교수도 졸업장도 없다. 출석 체크도 안한다. 학생이 희망하면 집에 가지 않고 하루 종일이라도 학교에 머물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양성을 목적으로 2013년 프랑스 파리에 만들어진 교육기관 에꼴42(Ecole42)의 모습이다. 이곳은 자기주도 학습을 기반으로 교육생들을 가르친다. 아무 PC에 앉아 교육용 클라우드에 접속해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관심 분야를 공부하면 된다. 18~30세 사이면 전공과 관계없이 학생이 될 수 있고 학비도 무료다.
나이와 전공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코딩 기술을 배울수 있는 프랑스의 교육기관 에꼴42. 이 학교엔 정해진 학기가 없고 출석체크도 하지 않는다. /에꼴42 제공
◆경직된 학제가 개발자 양성의 걸림돌

에꼴42의 설립자는 프랑스 이동통신사 프리모바일의 자비에 니엘 회장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양성을 가치로 내 걸고 사비를 털어 교육기관을 만들었다. 기업들의 호응은 기대 이상이다. 당장 현장에서 통하는 코딩 기술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실무능력만 보면 공과대학 졸업자들을 넘어선다는 게 현지 기업들의 공통된 반응이다. 개발자 구인난은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개발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 때문에 주요 선진국들은 대학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정원을 늘리고, 에꼴42와 같은 대안 교육기관을 만드는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짜내고 있다.

한국은 개발자 공급을 늘리는 작업이 더디다. 경직된 학제가 가장 큰 걸림돌이다. 국내 대표 교육기관인 서울대의 컴퓨터공학부 정원은 55명이다. 14년째 그대로다. 20년 전과 비교하면 오히려 35명이 줄었다. 정부가 전체 정원의 통제하는데다 학과간 정원 경쟁이 치열해서다. 특정 전공 입학생을 갑자기 늘리기 어려운 구조란 게 서울대의 설명이다. 사립대학들의 사정도 다르지 않다. 정원에 손을 대면 학생을 빼앗기는 학과의 이해 관계자들이 곧바로 ‘실력 행사’에 나선다.

기업들의 수요와 학생들의 희망에 맞춰 유연하게 학과 정원을 조절하는 대학은 KAIST 정도다. 이 대학에선 2학년이 되면 자신의 희망에 따라 전공을 고른다. 2019학년도엔 개발자를 육성하는 전기 및 전자공학과(174명)와 전산학부(157명)가 인기를 누렸다. 이 두 학과를 지원한 인원은 10년 전인 2009년의 세 배 수준이다. 정부는 지난해 말 에꼴42를 벤치마킹한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설립하겠다고 발표했다. 단시일 내에 대학 학제를 바꾸기 힘들다는 점을 감안해 ‘급한 불’을 끌 수 있는 전문 교육기관을 신설키로 한 것이다. 올 하반기에 만들어지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는 2년제로 2500명을 수용한다. 학력이나 전공의 제한 없이 학생을 선발해 코딩 교육에만 집중하게 한다는 점은 에꼴42와 똑같다.

기업들은 “취지엔 공감하지만 크게 기대하지는 않는다”는 반응이다. 교육기관의 설립 주체가 정부여서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낙하산으로 교육기관을 맡게 된 인물이 자율성과 철학을 갖고 학교를 운영할 수 있겠느냐“고 우려했다. 현재 에꼴42는 정부 예산을 포함한 외부 지원을 한 푼도 받지 않고 있다. 교육 방식 등에 외압이 있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외국인 ‘비자 허들’도 낮춰야전 세계 개발자들의 블랙홀로 불리는 미국 실리콘밸리에선 ‘정통 미국인’을 찾는 게 쉽지 않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새너제이에 이르는 베이 지역 기술 노동자의 57%가 외국인일 만큼 여러 나라에서 온 사람들이 뒤섞여 있다. 국내에서 개발자를 양성하기 힘들면 해외에서 인재를 데려오면 된다는 게 실리콘밸리식 사고다.

대다수의 외국인 개발자들은 전문직 취업비자(H-1B) 비자를 받고 미국에 들어온다. 매년 6만5000명의 쿼터가 있으며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 2만명을 별도로 뽑는다. 전체 H-1B 비자 소지자 중 70~80% 안팎이 IT 업계로 유입되고 있다.

실리콘밸리 CEO(최고경영자)들은 해외 개발자들의 문호를 지금보다 더 넓힐 것을 주장하고 있다. 브렉스 헨리크 두부그라스 CEO는 최근 미국 IT 전문지 테크크런치와의 인터뷰에서 “3년 후엔 부족한 소프트웨어 개발 인력이 200만명 선으로 늘어난다”며 “비자로 외국인을 제한하면 유능한 인재들을 다른 나라에 빼앗길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에도 미국의 H-1B 비자에 해당하는 E7 비자가 있지만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들은 활용이 쉽지 않다. 한국인 다섯명을 고용해야 외국인 한 명을 뽑을 수 있는 등 제한조건이 까다롭다.

업계에선 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IT 인력에 특화한 비자를 별도로 만들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개발자 구인난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업체들의 덩치가 커지면 내국인 고용도 늘어난다는 논리다. 전례가 없는 것도 아니다. 무역업체에 입사하는 외국인들을 겨냥한 D9이 특정 업종에 발급하는 대표적인 비자로 꼽힌다.

김성일 국민대 창업지원단 교수는 “대학에 재학중이거나 경력이 부족한 외국인 개발자라면 지정된 기관에서 일정기간 교육을 받는 등의 조건을 걸고 비자를 내주면 된다“고 말했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