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기술로 '먹거리 불안' 해결하는 시대 올까

해외 각국, 식품 유통·검증에 블록체인 기술 접목 '활발'
잊을 만하면 먹거리 안전 관련 소식이 들려오는 요즘, 식품 유통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좋겠다는 생각을 누구나 한 번쯤 했을 법하다.이런 가운데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 꼽히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먹거리 불안 해소 방안이 등장해 관심을 끈다.

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식품 분야 블록체인 기술 활용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먹거리 유통 과정을 들여다보고, 식품의 품질을 검증하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블록체인이란 거래기록을 네트워크 참가자에게 공개해 분산 저장하고, 거래 시 해당 참가자의 확인을 거쳐 인증하게 시스템이다.중앙감독기관이 필요 없어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거래의 효율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중국은 2008년 '멜라민 분유 파동' 이래 가짜 쌀·달걀, 석회 밀가루, 시멘트 호두 등 기상천외한 식품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 식품 불신이 팽배한 사회다.

중국 월마트는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 제품의 제조와 유통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작했다.IBM·칭화대와 함께 개발한 이 서비스는 중국산 돼지고기와 미국산 망고의 공급 과정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다.

축산업자가 돼지고기에 사물인터넷 센서를 부착해 사육 환경이나 방식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면, 가공업체가 도축·가공정보를 입력하는 식으로, 운송 과정에서도 온도·습도·물리적 충격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보고서는 "이전에는 식품 이력을 확인하려면 적어도 수 주일이 걸려 정보의 정확성을 신뢰하기 어려웠다"며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한 이후 식품 이력 확인 시간에 크게 줄어든 데다가 정보 위·변조도 어려워졌다"고 설명했다.중국의 온라인 거래 사이트 징둥닷컴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소비자에게 호주산 소고기 이력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일본 미야자키(宮崎)현 아야쵸(綾町)에서는 2016년 10월부터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유기 농산물 품질 검증을 도입했다.

생산·유통업자가 채소 포장에 QR 코드를 부여하면, 소비자가 스마트폰으로 생산·유통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재배에 쓴 토양과 재배 시기부터 도·소매 유통 정보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다.

미국 볼티모어의 식품업체 헝그리 하베스트는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파악한 농산물 생산량과 유통 과정의 과잉 생산량 정보를 농산물 재가공에 활용한다.

네슬레·타이슨푸드·돌·맥코믹 등 대형 식품업체도 IBM과 함께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식품안전 강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네덜란드의 대형 슈퍼마켓 체인인 알버트 하인은 오렌지 주스 생산업체 레프레스코와 협력해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이력 제공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블록체인에 토대를 둔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을 시범 구축해 유통 단계별 이력 정보와 증명서를 저장·공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유통 과정 추적 시간이 기존 5일에서 10분 이내로 줄어들었다.다만 보고서는 "기술 개발과 시장성은 항상 병행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기술이 아직 개발 단계인 만큼 '블록체인 만능론'에 대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경계했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