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대화 거부한 민노총 "이달 총파업"

경사노위 참여 무산 사흘 만에 올해 네 차례 총파업 예고
사회적 대화 복귀를 거부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결국 총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사회적 대화 참여가 불발된 이후 강경투쟁으로 전환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이 된 것이다.

민주노총은 1일 국회 앞에서 ‘2월 총파업 총력투쟁 선포 기자회견’을 한다고 31일 발표했다. 지난 28일 정기대의원대회에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 결정이 무산된 지 사흘 만이다.민주노총은 최저임금 제도 개편 규탄, 공공부문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촉구, 의료 민영화 반대,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 요구 등을 전면에 내걸고 있다. 민주노총은 기자회견에 앞서 “재벌과 경제관료, 보수 정당·언론 등 재벌 특혜 세력은 최저임금 인상과 소득주도성장이 위기의 원인이라는 왜곡 공세를 펼치고 있다”며 “노동자·민중의 생존권을 담보로 친재벌 정책과 노동권 개악을 강행하는 일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낼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지난 28일 경사노위 참여와 불참에 대한 안건이 모두 부결되자 “(최저임금제 개편과 탄력근로제 확대와 관련) 2월 국회에 대비한 총파업 총력 투쟁 준비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향후 경사노위 참여를 전제하지 않은 올해 사업계획을 새로 짜 이르면 이달 중 개최할 임시대의원대회에 상정할 예정이다.

민주노총은 연초 발표한 올해 사업계획에서 2월 총파업을 시작으로 4월 총력투쟁, 6월 총파업, 11~12월 사회적 총파업 등 네 차례의 파업을 벌이겠다고 예고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