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 만에 車 구동축 혁명…현대위아, 부품사 최초로 구조변경 성공

등속 조인트·휠 베어링 하나로 통합
현대위아가 100년간 사용돼온 기존 자동차 구동축 구조를 바꾸는 데 성공했다.

이 회사는 자동차의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핵심 부품인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사진)’을 개발했다고 22일 발표했다. IDA는 엔진에서 나온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인 드라이브 샤프트(등속 조인트)와 이를 바퀴에 연결하는 휠 베어링을 하나로 통합한 제품이다. 두 장치를 하나로 묶은 구동축을 개발한 것은 세계 자동차 부품사 가운데 현대위아가 처음이다.

IDA는 1920년대 드라이브 샤프트 개발 이후 지금까지 쓰인 자동차 바퀴의 연결 방식을 완전히 바꾼 부품이다. 현재 양산되는 모든 차는 변속기에서 나온 동력을 드라이브 샤프트를 이용해 바퀴에 붙어 있는 휠 베어링까지 전달하는 방식이다. 반면 IDA는 드라이브 샤프트의 끝부분과 휠 베어링으로 이어지는 부분을 일체화한 게 특징이다. 이를 통해 두 부품이 연결되는 곳에서 생기는 불량 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됐다. 회사 관계자는 “강성은 기존 제품보다 55%가량 높였고, 무게는 10% 이상 줄였다”며 “소음과 진동도 완전히 제거했다”고 설명했다.

현대위아는 2012년 IDA 개발을 시작한 뒤 모두 여섯 차례의 시제작과 2000회 이상 사전 검증 작업을 했다. 제작 과정에서 해외 2건, 국내 15건 등 총 17건의 특허를 출원해 기술 경쟁을 선도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했다는 평가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