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김정은의 서울 답방…미·북 정상회담 이후가 될 것"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
美 동의 없이 추진할 의제 아냐"

CNN "미·북 회담 장소 물색중"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답방 시기가 2차 미·북 정상회담 이후가 될 것이라고 청와대가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공언한 김정은의 지난해 서울 답방이 무산되면서 무리하게 추진할 모멘텀이 사라졌다는 설명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4일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의 재개는 미국 동의 없이 추진할 수 있는 의제가 아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정은으로선 서울 답방을 통해 경협 등의 가시적 결과를 얻지 못하면 정치적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김정은의 답방도 미·북 정상회담 이후 시점을 조율하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일각에서는 김정은이 신년사에 언급한 ‘조건 없는’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 용의를 두고 입산료를 받지 않거나 무상으로 공단을 재가동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청와대도 북한의 요구는 결국 미국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다만 김정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를 통해 유화의 손짓을 보내면서 2차 미·북 정상회담 논의가 속도를 낼 전망이다. CNN은 3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2차 미·북 정상회담 장소를 물색 중”이라고 보도했다. 지난해 말 아시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 인력을 파견해 장소 섭외에 들어갔다는 내용도 전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이날 “아직 끝내야 할 많은 일이 남아 있지만, 가까운 시일 안에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다시 만나는 기회를 가질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다만 회담 전망에 대해서는 “모든 것을 이룬다면 놀랄 것”이라고 언급해 낙관론을 경계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