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유치…부산 vs 인천 vs 서울 '3파전'

외교부, 내달 중순 개최지 발표

부산시 "컨벤션 등 인프라 충분"
인천시 "송도, 경호·보안에 유리"
오는 10월 말 국내에서 열리는 한·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 개최지를 놓고 지방자치단체의 유치전이 뜨거워지고 있다. 유치를 희망한 지역은 부산과 인천, 서울 세 곳이다.

3일 관련 지자체에 따르면 외교부는 이르면 오는 2월 중순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를 발표한다. 올해 30주년을 맞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는 지난해 싱가포르 특별정상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해 성사되면서 국내 개최가 확정됐다. 아세안 10개국 정상과 기업대표 등 4000명 이상이 참석한다.부산시와 부산상공회의소는 이날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 선정과 관련해 부산 유치 촉구 성명을 발표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새로운 한반도 평화시대를 맞아 부산이 평화와 번영을 여는 도시가 되기 위해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유치하겠다”며 “한반도 평화의 상징적 회의가 될 수 있도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초청할 의향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부산은 컨벤션과 호텔시설, 관광자원, 교통 등 충분한 인프라와 2014년에도 같은 행사를 개최한 경험이 있어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덧붙였다.

허용도 부산상의 회장은 “부산지역 기업들이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세계 5대 경제권으로 성장 중인 아세안 시장에서 교역을 확대하는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시도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인천시는 송도국제도시가 지난해 8월 국내 첫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된 데다 대한민국의 첫 관문인 인천국제공항과 가깝고 귀빈들이 머물 수 있는 특급호텔이 영종지구를 포함해 10여 개에 이른다는 장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송도는 바다와 갯벌을 메워 조성된 도시 특성상 외부와 연결되는 교량만 통제하면 섬이나 다름없어 경호와 보안에 유리하다는 설명이다.시 관계자는 “지난해 7월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컨벤시아 전시장을 두 배로 확장했다”며 “인천은 인천공항과 항만이 가깝고, 남북 평화의 중심지역을 넘어 아세안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하는 전초기지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부산=김태현/인천=강준완 기자 hy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