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철도 공동조사 이번주 시작될듯…어떻게 진행되나

경의선→동해선 순서로 점검…약 20일 걸릴듯
예정대로 진행되면 연내 착공식 물리적으로 가능
북한 철도에 대한 남북공동조사는 남측이 제안한 날짜를 북측이 받아들인다면 이번 주 후반에는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 23일 국회에서 열린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조만간 철도 공동조사가 이행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빠르면 이달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군사분계선(MDL)을 넘기 위해선 유엔사령부와 협의가 필요하지만,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가 공동조사에 대한 제재 면제 결정을 내린 상황이어서 큰 문제는 없을 전망이다.남북 공동연구조사단은 경의선 구간(개성∼신의주)에 이어 동해선 구간(금강산∼두만강)을 조사하는 순서를 밟는다.

남측 기관차가 5∼6량의 객차를 이끌고 방북한 뒤 북측 기관차로 바꿔 북측 구간을 운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객차는 조사단원의 사무공간과 식당칸, 침대칸 등으로 구성되며 식수와 유류, 조사에 필요한 기구 등이 실릴 것으로 알려졌다.경의선 북쪽 구간 조사를 마친 열차는 신의주에서 다시 내려와 동쪽으로 이동해 동해선의 레일과 침목 등을 점검하게 된다.

경의선은 약 410㎞, 동해선은 약 780㎞로 합치면 1천200㎞에 달한다.

두 구간을 모두 조사하는 데는 남북 간 협의가 필요하긴 하지만 총 20일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남북 정상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합의한 대로 연내 착공식 개최도 물리적으로 가능하다.

일각에선 정부가 남북 경협의 추동력을 높이는 차원에서 공동조사 기간 착공식을 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그러나 통일부 당국자는 26일 "착공식은 경의선과 동해선 구간에 대한 공동조사가 모두 끝나야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착공식이 열리면 남북간 혈맥을 잇는 사업이라는 상징성을 고려해 남북 정상이 나란히 참석할지도 관심이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남북 정상이 참석할 가능성을 묻자 "공동조사를 해나가면서 남북이 착공식 문제도 어떻게 해나갈지 조율이 될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일반적으로 착공식은 공사의 첫 삽을 뜨는 행사이지만, 대북제재를 고려해 상징적인 행사에 그칠 가능성도 있다.

실질적인 공사 착수는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이에 따른 국제사회의 제재 해제가 선행돼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실 남북 철도·도로 연결 및 현대화는 4·27 판문점선언에 담긴 사업으로, 남북은 당초 6월 철도협력 분과회담에서 7월 24일부터 경의선부터 현지 공동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는데, 계획보다 넉 달 이상 지연된 셈이다.특히 남북은 8월 말에 공동조사를 진행하려다가 막판에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는 유엔군사령부가 MDL 통과를 승인하지 않아 무산됐지만, 한미 워킹그룹에서 제재문제에 대한 이견을 해소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조사를 할 수 있게 됐다.

/연합뉴스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