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총파업에…與도 野도 "유감스럽다"

민주당 "문제해결에 도움 안돼"
한국당 "국민들이 지지 안해"
여야는 21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의 전국 총파업을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장외 투쟁을 끝내고 22일 공식 출범하는 사회적 대타협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참여해 대화하자는 게 골자다.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노동 현안을 사회적 대화를 통해 해결하지 못하고 (민주노총이) 파업을 선택한 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사회적 대화 대신 파업이나 장외 투쟁을 벌이는 것이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될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노총이) 경제주체 중 하나로서 국가와 경제, 사회 발전을 위해 고민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홍 원내대표는 민주노총이 완강히 거부하고 있는 탄력근무제 확대에 대해 “노동계의 일방적인 양보를 요구하는 게 아니다”며 “경사노위에선 탄력근무제 확대와 함께 노동자의 휴식권 보장, 임금 감소 보전 방안 등 모든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날 총파업을 지켜본 뒤 다시 민주노총과 대화를 시도할 계획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장인 김학용 자유한국당 의원은 “전체 근로자의 4% 수준에 불과한 조합원 80만 명의 조직이 노동계를 대표한다며 벌이는 총파업을 보면 한숨이 나온다”며 “상대적으로 높은 연봉을 받는 민주노총 조합원이 고용 세습 특권까지 누리면서 사회적 약자를 운운하는 게 맞느냐”고 질타했다. 김 의원은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벌이는 총파업을 국민이 지지해줄 것이라고 판단했다면 한심스러운 현실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이종철 바른미래당 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내 “민주노총은 총파업을 당장 거두고 경사노위에 동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민주노총은 오히려 갖고 있는 기득권에 대해 반성해야 한다”며 “일부 노동자의 권리를 앞세우며 사회 전체 노동자들의 권리를 해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