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3Q 영업익 전년비 35%↓…신규 사업 영업 손실 반영

콘텐츠 수급·수수료 등 신규 사업 비용 증가
매출은 5993억원으로 역대 최고
카카오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35% 떨어졌다. 카카오의 모빌리티, 페이, AI(인공지능) 등 신규사업 관련 영업 손실이 반영된 탓이다.

카카오는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5993억원, 영업이익 307억원을 올렸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하면서 역대 분기 최고치와 6분기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매출을 부문별로 보면 광고 플랫폼은 전통적 광고 비수기에도 플러스친구·알림톡 등 카카오톡 메시지 기반 광고 매출이 늘면서 전 분기와 비슷한 167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카카오톡 광고를 중심으로 한 모바일 광고 매출 증가 영향으로 10% 늘어났다.

콘텐츠 플랫폼 부문은 전분기 대비 1%,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한 306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게임 콘텐츠 매출은 모바일 신작 게임 출시 지연과 검은사막 해외 비수기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11% 하락했으나, 지난 4월부터 시작된 배틀그라운드 PC방 매출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 성장한 994억원으로 집계됐다. 뮤직 콘텐츠 매출은 멜론 유료 가입자가 전분기 대비 15만명 증가함에 따라 전분기 대비 4%, 전년동기 대비 11% 늘어난 1360억원을 기록했다.

기타 유료 콘텐츠 매출은 전분기 대비 17%, 전년 동기 대비 57% 성장한 713억원이다. 올해 다양한 마케팅 활동으로 카카오페이지 거래액이 전년동기 대비 51%, 픽코마가 165% 늘어나며 큰 폭의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

기타 매출은 카카오톡 선물하기·카카오메이커스 등 커머스(상거래)의 지속적인 성장과 카카오모빌리티·카카오페이 등 신규 사업의 매출 상승에 따라 전분기 대비 5%, 전년동기 대비 23% 증가한 1255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영업비용은 전년동기 대비 21% 증가한 5686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페이지, 픽코마 등 콘텐츠 수급 비용과 카카오페이 지급 수수료 등 증가분이 반영됐다.

카카오는 "연말까지 합병, 분사 등을 원활히 마무리해 매출 성장세를 이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라며 "주요 서비스 부문인 카카오톡과 인공지능(AI)의 성장도 기대를 모은다"고 밝혔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