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또 애플 넘었다…3분기 영업이익 추월

/사진=한경DB
삼성전자가 세계 최고 수익성을 자랑하는 미국 애플의 영업이익률을 추월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올 3분기 작년 동기보다 20% 늘어난 629억달러의 매출을 올렸고, 영업이익은 22.9% 증가한 161억달러를 기록했다. 매출에서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영업이익률은 25.6%로 나타났다. 이는 직전 분기 23.7%와 1년 전25.0%보다 높아진 수준이다.

그렇지만 최근 발표된 삼성전자 3분기 영업이익률은 애플을 넘어섰다.

삼성전자의 3분기 실적은 연결기준 확정 실적으로 매출 65조4600억원, 영업이익 17조5700억원, 영업이익률은 26.8%다. 애플의 3분기 영업이익률보다 1.2%포인트 높다. 삼성전자가 영업이익률 면에서 애플을 추월한 건 지난 2분기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2분기에도 삼성전자는 25.4%의 영업이익률로 당시 23.7%의 영업이익률을 낸 애플을 앞섰다. 다만 격차는 2분기 1.7% 포인트에 비해 다소 줄어들었다.

영업이익률은 회사의 운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다. 애플은 미국 유력 경제지 포브스가 2016년 6월 집계한 글로벌 영업이익률 상위 20개사에서 금융사를 제외한 제조업체 가운데 1위에 올랐던 기업이다.삼성전자는 2016년 하반기까지만 해도 영업이익률이 애플보다 10%포인트 이상 뒤처졌으나 지난해 그 격차를 한 자릿수로 줄였고, 올해는 2·3분기 잇달아 영업이익률을 추월하는 저력을 보였다.

다만 두 기업의 사업 구조상의 차이는 고려해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올해 3분기 반도체 사업부(13조6500억원)가 전체 영업이익(17조5700억원)의 78%를 책임졌다.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3분기부터 50%를 넘어 올 1분기 55.6%로 역대 최고점을 찍은 뒤 3분기 55.1%를 기록했다. '반도체 쏠림 현상'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때문이다. 오히려 모바일 사업 부문만 놓고 두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한다면 영업이익률의 자릿수부터 다르다는 지적이다.

삼성전자 IM(IT·모바일) 사업부문의 3분기 영업이익은 2조2200억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32.5%나 급감했고 영업이익률은 한 자릿수인 8.9%에 그쳤다.

하지만 글로벌 IT 제조업에서 삼성전자가 애플의 수익성을 넘어선 것을 가벼이 볼 순 없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애플의 경우 부품 생산을 외부업체에 맡기고 경쟁을 부추겨 납품가를 낮추는 방식으로 수익성을 끌어올리지만 삼성전자는 삼성디스플레이·삼성전기 등 그룹 내 계열 부품 공급사와 사업구조가 맞물려 어느 정도 이익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애플도 향후 실적 전망에 우려가 없는 상황은 아니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날 보고서에서 "이번 분기 실적은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와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시장의 수요가 둔화할 수 있다고 경영진이 (컨퍼런스 콜에서) 언급한 점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