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금융당국 지주사 전환 승인 후 지배구조 논의한다(종합)

사진=한경닷컴 DB
우리은행이 금융당국의 지주체제 전환 승인 이후에 지배구조 향배를 결정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가 다음달 7일 열리는 정례회의에서 우리은행의 지주사 전환 인가를 승인할 전망인 만큼 그 이후 지주회사 회장과 은행장 겸직 여부의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날 오전 서울 회현동 본점에서 정기 이사회를 열고 3분기 실적 승인 등의 안건을 가결했다. 이날 이사회에는 손태승 우리은행장을 비롯한 우리은행 이사진 8명이 전원 참석했다.정식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지만 회장 선임 등 논의가 이뤄질 것이란 당초 예상과 달리 지배구조 관련 논의는 다음달로 미뤄졌다. 금융당국이 우리은행 지배구조에 대해 검토한 뒤 의견을 밝히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지주사 전환 인가 후로 미뤄진 것이다.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 측은 이날 이사회에서 지주사 지배구조에 대한 금융당국의 입장을 전달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우리은행 사외이사는 "지배구조에 관해 다음달 금융당국의 지주회사 승인 이후에 다시 임시 이사회를 열어 논의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말했다.

이날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우리은행에 지배구조와 관련해 의견을 전달할 것이란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정부가 의도하는 인사를 경영진에 앉히려는 인사 개입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자료=한국경제 DB
최 위원장은 이날 정무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서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이 "1년 전 우리은행은 민영은행이기 때문에 경영에 간섭을 안 하겠다고 말했으나 최근 발언에 따르면 간섭하겠다는 것이 아니냐"고 묻자 "주주로서 책무이기 때문에 우리은행의 지배구조와 관련해 의견을 갖는 게 타당하다"고 답했다.

최 위원장은 "우리은행의 자율적인 경영을 존중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예보가) 18.43%의 잔여지분을 가진 주주로서 국민의 재산인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우리은행의 가치가 제대로 지켜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은행의 지배구조 관련 의견을 어떻게 전달할지 생각 중"이라고 덧붙였다.다만 일각에서 우려되고 있는 인사 개입은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최근 우리금융지주 회장 선임과 관련해 최대주주로서의 목소리를 내겠다는 게 무슨 뜻이냐"고 묻자 최 위원장은 "지주사 전환과 밀접하게 관계된 회장·행장 문제에 대해 어떻게 할지 의견을 가지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정부가 의도하는 인사를 회장이든 행장이든 경영진에 앉히려고 의사를 표현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낙하산 인사' 논란을 제기한 김성원 자유한국당 의원의 지적에도 최 위원장은 "정부가 어떤 특정인을 선임하기 위해 관여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재차 약속했다.

2016년 민영화 이후 우리은행의 경영자율권을 보장하던 정부가 이번에 적극적으로 경영에 개입할 경우 '관치금융' 논란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최 위원장의 발언에 대해 "경영자율권을 일부 보장하겠다는 입장으로 풀이된다"면서도 "(회장) 인사에 대한 어떠한 의견 개진도 없을 것이란 보다 명확한 확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우리은행 경영진 일각에서는 손태승 우리은행장의 회장 겸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우리은행이 우리금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이고, 지주사 전환 초기에는 그룹 전체의 일원화된 경영 전략 실행과 안정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근거로 한 주장이다. 우리은행 노조 역시 이 같은 명분으로 손 행장의 회장 겸직 의견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다만 금융지주사로서 비은행부문과 해외사업 확대에 힘을 싣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주사 회장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고객의 자산을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은행과는 성격이 다른 비은행부문 사업이 함께 모인 지주사의 회장을 은행장이 겸임할 경우 지주사 체제의 의미가 흐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권에서는 손 행장 외에 김장학 전 광주은행장(전 우리은행 부행장)·김희태 전 신용정보협회장(전 우리은행 부행장)·선환규 예보 감사(전 우리은행 부행장)·신상훈 우리은행 사외이사(전 신한금융 사장)·오갑수 글로벌금융학회장(전 금융감독원 부원장)·전광우 전 금융위원장(전 우리금융 부회장) 등을 우리금융지주 회장 후보군으로 거론하고 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