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광주 완성차 공장' 성사 막판 총력전

민주 지도부 광주에 집결
예산·복지 등 전폭 지원 약속
이해찬 대표 "이젠 매듭지어야"
정부 여당이 이달 광주형 일자리의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내놓고 총력 지원에 나선다. 지난 9월 논의 거부를 선언했던 노동계도 한 달여 만에 대화테이블에 나오면서 교착 상태였던 광주형 일자리 협상이 다시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이해찬 대표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는 24일 광주광역시 의회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열어 ‘광주형 일자리’의 전폭적 지원을 약속하며 조속한 협상 타결을 당부했다. 이 대표는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민·정이 참여하는 사회통합형 일자리로 초미의 관심사”라며 “이제 노동계와 광주시가 협의를 매듭지어 달라”고 당부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현대자동차와 광주시가 협약을 맺고 임금은 현재보다 다소 낮춘 대신 주거, 교육, 복지 혜택 등을 정부와 광주시가 지원하는 새로운 고용창출 사업이다.이 대표는 “산업단지 진입로 확보뿐만 아니라 공공임대주택, 행복주택 1000가구와 단설유치원, 공동유치원과 체육시설 등 다양한 복지 지원을 정부와 시가 부담해 근로자의 실질소득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전폭적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면서 “광주형 일자리 지원 방안을 이달 당정 협의를 통해 매듭짓겠다”며 광주시와 한국노총의 원만한 협상 타결을 당부했다. 민주당은 광주형 일자리가 전북 군산, 경남 창원·거제 등 심각한 고용난에 시달리는 지역의 맞춤형 일자리 발굴을 위한 선도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홍영표 원내대표는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문재인 정부 일자리 정책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홍 원내대표는 “지난 대통령선거 때부터 관심을 두고 추진한 사업인데 이렇게 늦어질 줄 몰랐다”며 “소요 예산은 당에서 책임지고 최대한 지원할 테니 사회적 타협을 조속히 마무리해 달라”고 촉구했다. 정부 여당에서는 광주형 일자리를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11월 예산안 심의가 본격화하기 전에 협상이 마무리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와 관련, 9월 논의 불참을 선언한 한국노총은 이날 ‘광주형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사·민·정 협의’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용섭 광주시장 측은 “전면 중단됐던 노조와의 대화가 재개되고 정부에서도 전폭적 지원을 약속하는 등 분위기는 나쁘지 않다”며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시민들과 노동계의 의견을 경청해 조속히 협상을 타결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김형호/광주=임동률 기자 chsa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