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兆 날린 브라질債 투자…증권사는 4200억원 챙겨

최운열 의원 국감자료
"투자 권유 불법인데 판매 열올려"
국내 증권회사를 통해 브라질 국채를 산 투자자의 손실 규모가 올 들어 1조5050억원(8월 말·평가손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자금 유출과 브라질의 정치적 불확실성 증대로 투자 수익률이 -20%에 육박할 정도로 폭락한 탓이다. 브라질 국채는 초고위험 상품으로 분류돼 투자 권유 자체가 불법이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투자설명회까지 열어 개인을 상대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21일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브라질 채권을 중개한 국내 증권사 17곳의 판매 잔액은 7조8390억원에 달했다. 이 중 미래에셋대우(1조9840억원) 삼성증권(1조5647억원) 신한금융투자(1조4186억원) NH투자증권(1조212억원) 등 4곳이 1조원 이상의 잔액을 보유하고 있다.

개인 은퇴자금 등의 뭉칫돈이 대거 유입됐지만 브라질 채권의 투자 수익률은 올해 크게 부진했다. 올 들어 8월 말까지 채권 가격과 원·헤알 환율, 이자 지급액을 감안한 수익률은 -19.2%다. 증권사의 선취 수수료(3% 안팎)를 포함하면 투자자들이 입은 손실률은 22%에 달한다. 다행히 이달 들어 수익률이 10%포인트 이상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 수익률이다. 작년엔 연간 1.3% 수익률을 올렸다. 증권사들은 2011년 이후 브라질 국채 판매로만 4248억원의 수수료 수익을 얻었다.

김우섭 기자 duter@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