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北문제 서둘지 말자"…김정은과 회담, 내년으로 넘길 가능성

늦춰지는 비핵화 시간표

연내 종전선언 가물가물
김정은 서울답방도 유동적

폼페이오 열흘 내 실무협상
김여정 '깜짝 訪美'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이 북한 문제에 대해 “서두르지 말라(Take your time)”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이 내년 초로 미뤄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미·북 정상회담, 다시 안갯속으로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네바다주 엘코에서 열린 중간선거 지원유세에서 “(오바마 전 행정부 시절) 우린 북한과 전쟁을 치르려 했다”며 “그것(북한 문제)은 잘될 것이니 서두르지 말라”고 말했다. 그는 앞서 유엔 총회 기간인 지난달 26일 “(북한과) 시간 게임을 하지 않겠다. 2년이든 3년이든 5개월이든 상관없다”고 전하며 대북 협상에서 신중론으로 선회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전날 멕시코 방문 중 미국의 소리(VOA) 방송 인터뷰에서 “약 열흘 내에 북한과 고위급 회담이 열리길 매우 기대한다”고 말했지만 회담 장소와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북측 카운터파트도 누가 될지 모른다. 일각에선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나 이용호 외무상이 아니라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나설 것으로 예상한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19일 트럼프 정부 고위 당국자를 인용해 “미국과 북한의 2차 정상회담은 내년 1월1일 이후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당초 2차 미·북 정상회담은 올 11월 중 열릴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중간선거 이후”라고 못 박았다.전문가들은 북한이 핵 시설 사찰 및 핵 신고와 관련해 미국이 만족할 만한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강인덕 전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핵 신고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이상 미국도 현 상황에서 진전된 태도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멀어지는 ‘연내 종전선언’

미국이 정상회담의 ‘운’은 띄워 놓고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유보하는 태도를 보여 정부가 목표로 잡은 연내 종전선언 성사 역시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의 2차 회담 후 비핵화 초기 조치 구체화, 종전선언 성사, 김정은의 서울 답방 등으로 이어지는 일정을 기대했지만 현재로선 구체적 실현 시기를 가늠하기 어렵게 됐다는 분석이다.일단 정부에선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21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다. 이 본부장은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비롯한 주요 관계자를 만나 북한 비핵화에 대한 한·미 간 의견을 조율할 예정이다. 이 본부장은 “비건 대표와 만나 앞으로 어떻게 비핵화를 추진할 것인지 협의할 생각”이라며 “(북핵 문제의) 진전이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비건 대표와는 미·북 간 실무협상에서 다룰 북한 비핵화 관련 내용 및 대북협상 전략, 미·북 고위급 회담 관련 내용에 대해 의견을 나눌 것으로 예상된다. 또 이 본부장의 지난 19일 방중 결과와 비건 대표의 최근 러시아 및 유럽 순방 결과를 공유할 예정이다. 아울러 남북 철도·도로 연결 사업의 대북 제재 예외 인정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대외용 선전매체를 통해 미국에 비핵화 선제 조치에 상응한 실천적 행동 조처를 압박하고 있다.북한 ‘우리민족끼리’는 이날 ‘미국의 상응한 조치가 따라서야 한다’는 제목의 논평에서 최근 “많은 나라의 전문가들과 언론들은 “미국에 시효가 지난 대조선(북한) 제재를 철회하고 조선이 취한 선제적인 조치들에 상응한 조치가 따라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논평은 이어 “현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신뢰에 기초한 실천적 행동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며 “미국은 우리의 성의 있는 노력에 화답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 대외 선전용 주간지 ‘통일신보’도 이날 “조·미 사이의 신뢰 조성을 선행시키면서 단계적이며 동시적인 방법으로 조선반도(한반도) 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계속 높이 울려 나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