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 구도심 주민 "도시재생 대신, 철거 후 재개발해 달라"

'2030 성남시 기본계획' 내년 상반기까지 수립

성남시, 도시재생도 검토…지난해 일부 직권 해제
수진1 등 "주민 동의율 70% 넘겨, 구역 지정 요청"
내년 상반기 ‘2030 성남시 도시주거환경 정비기본계획’ 수립을 앞두고 경기 성남시 구시가지 주민들 사이에서 도시재생 대신 전면 재개발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노후 주택이 밀집한 성남시 수진1구역. /한경DB
경기 성남시가 향후 10년간 시행할 새 재건축·재개발 계획 수립에 나서면서 노후 구시가지 일대에서 재개발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성남시는 내년 상반기 ‘2030 성남시 도시주거환경 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지난달 지역별 설명회를 열고 주민 설문조사를 마쳤다. 성남시 관계자는 “오는 11월 기본계획 초안이 나오면 연내 공청회와 공람 등을 거칠 것”이라며 “기본계획수립 용역과 새 계획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내년 상반기 안으로 동시에 완료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성남시 구시가지 정비사업 재검토
2030 성남 정비기본계획은 판교지역(8.9㎢)을 제외한 성남 본시가지 및 분당지역의 시가화 용지 26.9㎢가 대상이다. 구시가지에선 10여 개 구역이 해당한다. 태평1·3구역, 신흥1·3구역, 수진1구역, 금광2구역, 중2·4구역, 은행1구역, 상대원3구역 등이다. 이들 구역 주민 과반수는 마을 가꾸기 수준의 도시재생 대신 전면 철거 방식의 재개발을 원하고 있다고 인근 중개업소들은 전했다. 그러나 재개발구역에서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주민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이 일대에선 최근 주민들의 재개발 추진 움직임이 뚜렷하다. 태평3구역, 수진1구역, 상대원3구역 등의 주민들은 재개발 청원 운동을 벌이고 있다. 상대원3구역 주민들은 이달 말 성남시청을 단체 방문해 재개발 사업 추진을 요구할 계획이다. 5030가구 규모로 재개발을 추진 중인 수진1구역 재개발추진위원회(가칭)는 최근 성남시청에서 자체적으로 재개발 설명회를 열었다. 윤한교 수진1구역 재개발준비위원회 위원장은 “재개발 구역 지정 관련 주민동의서 동의율이 70%를 넘겼다”며 “이달 정비구역 지정 요청을 성남시에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도시재생은 도움 안 돼”

성남시는 구시가지 일대에서 도시재생 사업을 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 성남시가 작년 10월 발표한 ‘성남시 도시재생전략계획’에 따르면 구시가지 일대에 적용되는 도시재생 사업은 구릉지 노후 불량지역 대상 도시기반시설 확충, 시장 골목상권 기능 강화 등이다. 이즈음 시장 직권으로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태평2·4동과 수진2동은 도시재생 사업지로 전환 후 정비 규모가 확 줄었다. 태평2·4동은 당초 아파트 4688가구를 새로 지을 계획이었으나 이젠 새 단지 대신 일부 주택 개·보수와 신축, 가로주택정비 사업, 행복 관리사무소 신설 사업 등이 예정돼 있다.

반면 수진·상대원동 등 일대 주민들은 전면 철거식 재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일대 주택과 기반시설이 심각하게 낙후돼 도시재생으론 주거환경 개선 효과를 볼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수진1동의 한 주민은 “지난 7월 수진동의 한 주택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도로가 좁다 보니 소방차가 진입하지 못해 소방호스를 끌어다 간신히 진화했다”며 “지난여름엔 폭우로 일부가 부서진 주택도 서너 곳 나올 정도로 건물 노후도가 심하다”고 말했다.도시재생은 최근 이슈인 서울 수요 분산에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비사업을 재검토 중인 구시가지는 성남 수정구·중원구 일대다. 북쪽엔 위례신도시가, 남쪽엔 분당신도시가 있다. 태평1구역 주민 정모씨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그린벨트 해제 등을 놓고 논쟁할 시간에 낙후 구시가지를 재개발하면 기존 주민과 새 주택 수요에 모두 도움이 된다”며 “기존 생활 인프라도 활용할 수 있어 삶의 터전을 빠르게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핫이슈